북위 33° 06′ 30″, 동경 126° 16′ 30″. 대한민국 최남단 마라도의 위치를 알려주는 숫자다. 이 작은 섬에서 하룻밤 묵고 해돋이를 감상하려니 단잠을 이루지 못한다. 태평양 건너 제주도로 불어대는 겨울바람 탓만은 아니다.
밤새 뒤척이다 이른 새벽 눈을 뜬다. 대한민국 최남단비로 갈까, 아니면 마라도 등대공원으로 갈까. 기념비적인 해돋이를 감상하기 위한 장소를 선정하기가 쉽지 않다. 결국 두 곳에서 모두 일출을 보기로 작심한다. 숙소를 나서서 최남단비 방면으로 가는 동안 눈길은 줄곧 수평선으로 향한다. 구름층이 두텁지 않다. 이 계절에 천만다행이다. 마라도 주민들 말이 겨울철에는 일기가 불순해서 해돋이를 볼 수 있는 날이 많지 않다는데, 천운을 기대하며 최남단비로 가서 잠시 최남단 벤치에 앉아 해를 기다린다.
수평선 위에 걸쳐진 구름층이 그리 두텁지 않다. 예감이 좋다. 이제나저제나 시간을 흘려보낸다. 고깃배 몇 척이 장군바위 앞바다에 물살 꼬리를 남긴 채 본섬으로 달려간다. 그 꼬리가 없어지기도 전에, 마침내 한 해를 따스하게 비쳐줄 태양이 떠오르기 시작한다. 햇살은 장군바위에도, 최남단비에도, 삶의 무게에 지친 여행객들의 어깨 위에도 따스하게 내려앉는다. 여행객들은 마라도의 일출을 눈으로 담으며 새삼스럽게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과 하루하루의 소중한 가치를 깨닫는다.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 마라도
이제 오후 배를 이용해서 마라도를 떠나기 전에 마라도 구석구석을 여행하는 일만 남았다. 마라도는 해안선의 길이가 4.2km, 동서 길이 500m, 남북 길이 1.3km, 면적이 0.3㎢(약 10만 평)에 불과하다. 섬을 한 바퀴 도는 데는 천천히 걸어도 한 시간 남짓이면 충분하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항공모함을 닮은 듯하고, 맛있는 고구마도 닮았다. 모슬포항에서 마라도까지는 11km 거리이며,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 423호로 지정되었다. 하나밖에 없는 등대와 학교 등 마라도에서는 풀 한 포기, 뒹구는 돌멩이 하나에도 특별한 의미가 깃들어 있다.
대한민국 최남단비는 마라도의 상징물 1호다. 내륙의 기념비들이 밝은 화강암으로 제작된 것과 달리, 최남단비는 검은 제주도 화산암으로 만들어졌다. 앞으로는 해안가에 장군바위가 솟았고, 뒤로는 여행객을 위해 벤치가 여러 개 놓였다. 여행객들은 최남단비나 한라산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촬영한다.
1915년 무인 등대로 불을 밝히기 시작한 마라도등대는 1955년 유인 등대로 거듭났고, 1987년 새로이 지어졌다. 등대 발치에는 세계 유수의 등대 모형이 설치되었다. 등대마다 자신들의 역사를 소곤소곤 들려주어 등대공원 산책은 마라도 여행의 또 다른 즐거움이다. 마라도등대는 섬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어 확 트인 바다는 물론 바다 너머 한라산과 산방산, 송악산이 손에 잡힐 듯 다가온다.
마라도등대에서 자리덕선착장을 향해 걷다 보면 애기업개당이라고도 불리는 할망당이 나온다. 아득히 먼 옛날 모슬포에 살던 이씨 부인이 여자아이의 울음소리에 이끌려 숲 속으로 들어가니, 부모에게 버림받은 여자아이가 울고 있었다. 부인은 그 아이를 수양딸로 삼았다. 세월이 흘러 부인에게서 아기가 태어났고, 그녀는 새로 태어난 아이를 돌보는 애기업개가 되었다. 어느 해 봄, 그녀는 씨뿌리기 하려고 마라도에 들렀다가 거친 파도를 다스리는 제물이 되고 만다. 그 후로 마라도를 찾은 어부들은 그녀의 혼을 달래기 위해 이 할망당에서 극진히 제를 지낸다고 한다.
마라도의 신비스러운 해돋이를 가슴에 담고 모슬포항으로 뱃길, 여객선이 출렁거리며 파도타기를 시작한다. 이곳은 해저 200m 이상인 심해라서 요동이 심하다. 기암절벽과 해식동굴의 절경이 조금씩 멀어지자 서서히 뱃멀미가 난다. 그때 선원이 한 마디 위로를 던진다.
“마라도에 들어올 때면 몰라도 나갈 때는 절대 멀미를 안 합니다. 마라도 애기업개할망이 보살펴주니까요.”
〈당일 여행 코스〉
모슬포항→마라도→송악산→사계리 해안도로→화순금모래해변
모슬포항→마라도→알뜨르비행장→대정향교→서귀포 김정희 유배지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제주국제공항→서귀포 김정희 유배지→모슬포항→마라도 입도, 해넘이 촬영→마라도에서 숙박
둘째 날 / 해돋이 촬영, 마라도 일주 산책→모슬포항→송악산→중문단지→서귀포 시내
〈여행 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서귀포시청 www.seogwipo.go.kr
-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정보 www.jejutour.go.kr
- 삼영해운 (마라도 정기여객선) www.wonderfulis.co.kr
- 감귤박물관 www.citrusmuseum.com
- 다빈치뮤지엄 www.davincimuseum.co.kr
- 제주유리박물관 www.glassmuseum.co.kr
○ 문의 전화
- 서귀포시청 관광진흥과 064)760-2653
- 서귀포시 대정읍사무소 064)760-4081
- 삼영해운 064)794-5490, 3500
- 감귤박물관 064)767-3010
- 다빈치뮤지엄 064)794-5115
- 제주유리박물관 064)792-6262
○ 대중교통 정보
제주시∼하모리(모슬포항) : 제주종합터미널에서 평화로 버스 이용
서귀포시∼하모리(모슬포항) : 서귀포터미널에서 평화로 버스 이용
○ 자가운전 정보
제주국제공항→1135번 지방도→동광오거리→추사관 입구→1132번 지방도→모슬포항
서귀포시 서귀동→서귀포월드컵경기장 입구→1132번 지방도→추사관 입구→모슬포항
○ 숙박 정보
- 호텔 펠리스텔콘 : 서귀포시 서문로41번길, 064)749-2008,
www.jejufeliz.com (굿스테이)
- 베니키아제주크리스탈호텔 : 서귀포시 중정로, 064)732-8311,
www.jejucrystal.com (베니키아)
- 호텔 하나 : 서귀포시 중문관광로72번길, 064)738-7001,
www.hotelhana.co.kr (베니키아)
- 라임오렌지빌 : 서귀포시 칠십리로, 064)767-3888, www.limevil.com
- 예이츠산장 : 서귀포시 남원읍 516로, 064)767-3746, www.limevil.com
- 마라도게스트하우스 : 대정읍 마라로, 064)792-7179, www.maradoguest.co.kr
- 마라도펜션 : 대정읍 마라로, 064)792-7272
- 별장민박 : 대정읍 마라로, 064)792-3322
- 최남단민박 : 대정읍 마라로, 064)794-5507
○ 축제와 행사 정보
- 서귀포겨울바다펭귄수영대회 : 1월 초, 중문 색달해변,
○ 주변 볼거리
모슬포 토요시장, 송악산, 가파도, 서귀포 김정희 유배지, 대정향교, 사계리 해안도로, 알뜨르비행장, 섯알오름, 하멜기념비, 용머리해안, 감귤박물관, 다빈치뮤지엄, 제주유리박물관, 외돌개, 갯깍주상절리대, 서귀포자연휴양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