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은 대기가 건조한데다가, 매섭게 부는 찬바람이 우리 몸을 덩욱 메마르게 만든다. 게다가 실내에 과도한 난방으로 우리의 피부, 두피 등을 더욱 건조하게 만들어 다양한 질병을 유발 시킨다.
겨울철, 건조해진 우리 몸에 일어날 수 있는 변화와 그에 맞는 건강관리법을 알아보자.
가지러움증을 일으키는 피부 소양증
겨울이 되면서 피부 간지러움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살을 에는 추위와 매서운 칼바람, 실내난방기기의 사용이 부쩍 늘어나면서 피부 소양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겨울철 춥고 건조한 날씨로 인해 피부는 땀 분비는 물론, 유분 분비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연 피지막의 형성을 저해해 피부 본연의 수분함량을 떨어뜨리고, 피부의 유수분밸런스를 무너뜨려 피부는 매우 건조하고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버린다. 이처럼 보호막이 사라진 피부는 외부오염물질에도 쉽게 노출돼 피부자극으로 인한 간지러움증을 일으키는 피부소양증을 발생시킨다.
소양증이 만성단순태선으로까지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피부보습이 가장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항시 실내습도를 50~60%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난방 역시 18℃ 전후로 실내온도를 맞춰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세안이나 샤워 시에도 보습성분이 함유된 세정제를 사용해 미온수로 세정하고 또 샤워 후에는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 보습크림이 피부보호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효과적이고 꽉 끼는 옷 보다는 통풍이 잘되는 순면의 옷을 입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비듬? 두피건조증
겨울철, 우리 두피는 피부만큼이나 건조해 진다. 건조해 질수록 두피는 더 예민해질 뿐만 아니라 다량의 각질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각질이 떨어져 나가는 각화현상이 두드러지면 비듬량이 늘어나게 된다. 비듬은 각질세포의 정상적인 탈락과정에서 생성되는 지극히 정상적인 증상이라 할 수 있지만, 겨울철 비듬량이 급격히 증가했다면 두피건조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증상이 지속될 경우 비강성 탈모증으로까지 이행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려움이 심하고 두피가 짓무른다면 염증성 두피질환인 지루성 피부염을 의심해 볼 필요도 있다. 지루성 피부염은 심할 경우 두피에 진물과 딱지가 발생하는 등 그 증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지루성 피부염이 악화될 경우 고름 및 악취·탈모증상 등이 동반될 수 있어 두피건강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먼저 겨울철 두피 건조증에 의해 비듬 발생이 증가했다면 비듬전용샴푸를 사용해 이틀에 한번 정도 청결히 머리를 감고 충분한 수분섭취 및 난방기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갈라지고 피까지 나는 발뒤꿈치
또 겨울이면 갈라지는 발뒤꿈치로 인해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심할 경우 피가 나거나 쓰라림이 심해 보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유독 발뒤꿈치가 겨울철 건조함에 취약한 이유는 발바닥 피부의 특성 때문이다. 일반 피부와 달리 발바닥 피부는 그 두께가 매우 두껍고, 피지선이 분포돼 있지 않아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고 각질이 쉽게 일어난다.
또 보행으로 인해 피부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게 되면 피부 스스로의 방어기재가 발생하면서 다량의 각질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다 보면 발뒤꿈치에 각질이 많이 쌓이면서 굳은살이 가장 두껍게 형성되게 된다. 때문에 목욕이나 족욕 후 스크럽을 사용해 부드럽게 마사지하는 것이 좋으며, 건조함과 각질발생이 심한 부위에는 크림이나 바셀린을 듬뿍 발라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일부 갈라짐 예방을 위해 발뒤꿈치 굳은살을 칼이나 손톱깎이로 잘라내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세균감염이나 피부에 상처를 낼 수 있는 위험한 방법임으로 삼가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