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은 우주개발을 위해 연간 1만원 이상의 비용을 부담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대다수가 차기 프로젝트인 ‘한국형 발사체(KLSV-Ⅱ)’ 개발 계획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한국리서치에 따르면 나로호 발사 성공 직후인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3.4%가 “예산 증액을 통해 더 과감한 우주개발 투자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는 “현재 투자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32.3%)의 두배에 달하는 수치다.
또한 ‘국민 1인당 부당하는 적정한 우주개발 비용’으로는 응답자의 50.1%가 연간 1만원으로 답했다. 그 뒤를 이어 2만원(18.1%), 5천원(12.9%), 3만원(11.3%)의 순이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우주개발 투자비용은 연간 4천원 내외로 미국(14만원), 프랑스(5만원), 일본(3만원) 등에 비해 턱없이 적다.
응답자의 84.2%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 사업을 지지했으며 63.8%는 이 계획을 2∼3년 정도 앞당기는데 찬성했다. 2020년대 초중반께 실현을 목표로 추진되는 무인 달 탐사 계획에 대한 지지율도 67.5%로 집계됐다.
이러한 우주개발의 높은 지지도에 대해 응답자의 78.6%가 “나로호 발사 성공”때문이라고 답했고 72.8%는 “나로호 개발을 통해 우리의 우주개발 수준이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우주개발 기술에 대한 평가는 냉정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4.0%)은 국내 우주기술 수준을 미국, 러시아 등 우주 분야 선진국의 '50% 이하'로 인식했다.
투자가 가장 시급한 분야로는 '위성개발 및 위성영상 활용 분야'(50.1%)가 꼽혔고 향후 바람직한 우주개발 방식으로는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49.8%)가 '독자개발과 국제협력 병행'을 얘기했다. '독자적 기술개발'(28.0%)이나 '우주선진국과의 국제협력'(21.5%) 등 한 쪽만 선택한 비율은 훨씬 낮았다.
이유·무선전화를 통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진 이번 조사는 신뢰수준 95%에 오차 범위는 ±3.1%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