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이 누구보다 험난한 삶을 살아왔음은 모든 국민이 알고 있을 것이다.
지난 1974년 어머니인 육영수 여사를 잃고 5년이 지난 1979년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마저 부하의 총탄에 세상을 떠나면서 박 대통령은 20대에 부모를 잃게 됐다.
그 후 박 대통령은 오랜 칩거생활을 하며 독서와 사색 그리고 운동 등에 비교적 많은 시간을 보내며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 기념사업을 추진하며 지냈다.
그러던 1990년 11월, 정성을 기울여 추진해온 부모님 기념사업을 중단하고 93년 책 <평범한 가정에 태어났더라면>을 출간 한다.
이 책은 박 대통령이 부모님을 잃고 난 후 아프게 지내던 시절의 심경들이 일기 형식으로 적혀있다.
박 대통령은 책에서 “조용히 지내온 그간에도 관심을 갖고 저의 소식을 궁금하게 여기고 계신 분들의 이야기도 많이 들었고 또 기념사업 활동을 느닷없이 중지하게 된 경황 가운데 많은 기념사업 가족 여러분께 인사도 제대로 못했던 저간의 사정을 생각하고 그 분들게 감사한 마음과 인사를 전해드릴 방법이 없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며 “다행히 그간 제가 느낀 생각들을 그때그때마다 적어 놓은 글들이 있어 그것들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펴내면 저의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는 길이 될 것 같았습니다”라고 적어 놓았다.
또 푸르메재단을 통해 기고한 글을 보면 과거 쓰라린 아픔을 회상하며 그 아픔을 인내하여 견디게 된 계기를 알 수 있다.
박 대통령은 재단 기고글에서 “당시에는 숨 쉬는 것조차 힘들었고 당장에라도 모든 걸 포기하고 싶었다”며 “가족끼리 손을 잡고 나들이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나도 평범한 가정에 태어났더라면’하는 생각이 간절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고난 을 벗 삼고 진실을 등대 삼는다면 인생의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는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아픔을 견디게 해준 마음가짐에 대해 말했으며 “시장의 할머니, 장바구니를 든 아주머리, 거리에서 만나는 평범한 이웃들의 진정어린 사랑과 격려가 있었기에 용기를 얻었다. 그러면서 자신과 끊임없는 대화를 하면서 자신과 싸우는 시간을 통해 올바른 인생이야말로 가장 가치 있는 삶이라는 평범하고 소중한 진리를 깨달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20대는 고통과 성찰, 깨달음의 시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