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정권 시절 기업인 김지태씨에게 강제로 빼앗은 ‘장물’을 사회에 환원하는 역사문제의 회복, 박근혜 대통령과 측근들에 의해 사실상 폐쇄적인 ‘사조직’으로 운영됐던 점, 장학회가 지분을 보유한 MBC와 부산일보 등 언론사의 독립성 문제가 난마처럼 얽혀 있는 정수장학회를 향해 새롭게 거듭나기를 요구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박 대통령의 영향에서 벗어나 순수하고 독립된 공익재단으로 거듭날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 이사장의 사퇴 다음날인 지난 26일 정수장학회 이사진과 직원들은 언론과의 접촉을 피하고 있다.
최 이사장도 지난 25일 사퇴하면서 장학회는 현재 틀을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과 이사진의 중립적인 재편을 요구하는 시민사회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정수장학회는 이사회가 모든 의사결정권을 갖는 구조인데다 이사진 구성도 박 대통령의 측근들로 오랫동안 이뤄져왔다.
야당은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과 이사진의 공식재편 요구를 하고 있다.
지난 25일 민주통합당 정성호 수석대변인은 “정수장학회는 박정희 군사독재 시절 강압에 의해 억울하게 재산을 빼앗기고 고통받은 고 김지태씨 유족들과 적극적인 대화로 해결책 마련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진보정의당도 “국가 강압에 의해 강탈한 장물인 정수장학회는 여전히 박 대통령의 영향력 아래에 있으며 과거사에 대한 사과와 함께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수장학회는 박정희 정권에 기업인 김지태씨의 부일장학회를 국가에 강제 헌납 시켜 박정희와 육영수의 이름 한 글자 씩 따 설립한 재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