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접대 의혹에 휩싸인 김학의 법무차관의 전격 사퇴 후폭풍에 휩싸인 청와대는 22일에도 말을 삼가면서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전날 윤창중 대변인은 사실관계가 확정되지 않고 본인도 의혹을 완강히 부인하는 지금 섣불리 얘기했다가 또 다른 파문에 휩싸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 “대변인으로서 드릴 말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미 청와대의 인사검증 시스템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비판과 불신은 끊이지 않고 있다. 김 차관 관련 의혹이 지난해 11월부터 나왔고 최근 들어 구체적 이름까지 거명되며 시중에 광범위하게 떠돌았는데도 경찰 수뇌부와 본인에게 간단히 확인하는 수준에서 무혐의로 결론지었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에 대해 “본인이 완강하게 부인하고 주변 관계자들도 입을 닫으면 검증팀이 제한된 시간 내에 무슨 힘으로 개인의 내밀한 사생활까지 확인할 수 있느냐”며 “문제의 동영상은 뒤늦게 나온 것이고 허리 밑의 일까지 일일히 확인한다는 게 쉬운 일이냐”고 반문해 애초부터 인사검증 시스템에 구멍이 있었음을 드러냈다.
이로써 박근혜 정부의 인사 사고는 인수위 때 최도석 인수위원이 돌연 중도 사퇴한 이후 김용준 총리 후보자,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등에 이어 열 번째를 기록했다.
청와대는 김 차관의 거취와 관련해 일단 “청와대가 보호하거나 옹호할 이유는 없다”는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박근혜 정부 초기 인사와 리더십에 치명적 먹칠을 한 민정 및 인사라인도 문책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