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은 분산매각 뿐이란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경영권프리미엄을 받고 정부 지분을 일시에 매각하거나 합병하는 방안은 금융지주회사법 및 각종 규제 탓에 실현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우리금융민영화에 대해 다른 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를 합병해서 메가뱅크를 만드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김홍달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소장은 지난 22일 'WFRI 금융경제 아카데미'에서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한 유일한 대안은 분산 매각 뿐이다”며 “그 외 방법은 인수 후보가 제한되고 금융지주회사법 규제에 걸려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공적자금을 투입한 이후 10여년째 민영화를 실패한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다”며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에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란 명분에 집착, 효과적인 민영화 전략을 세우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김 소장은 매각 가능성과 효율성 등을 따졌을 때 '분산매각'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분산매각 방법은 크게 기관투자자나 특정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모 방식'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공모 방식'이 있다.
김 소장은 "블록세일은 투자자 수가 적어 가격협상이 용이하다"면서도 “우리금융에 투입한 공적자금에 이자가 부과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영화를 빨리 성사시키는게 매각단가 극대화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글로벌 시장에서 대형 은행들은 실효적 대주주가 없이 기관 투자자들이 4~5%씩 분산해 지분을 갖고 있다"며 "글로벌 금융 산업의 트렌드를 감안해도 분산 매각을 통한 민영화가 적합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