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노원병, 왜 무공천 하나?
민주, 노원병, 왜 무공천 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통합당은 4·24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에 "야권의 맏형으로서 공천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의 무공천으로 노원병 야권 후보자들은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 대선후보에게 후보직을 양보한 안철수 무소속 예비후보와 삼성 X파일 사건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노회찬 전 진보정의당 의원의 부인인 김지선 예비후보, 정태흥 통합진보당 예비후보 3자로 사실상 확정됐다.

노원병 선거의 쟁점은 이들 두 후보들 간의 단일화 문제가 당분간 거론 될 것으로 보이나 안철수 후보의 입장은 이번 보선에서 만약 양보를 할 경우 정치적 생명에 커다란 영향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김지선 후보가 양보를 하지 않는한 결코 말잔치가 되고 말것이란 주장이 있다.

정성호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노원병 지역을 전략 선거구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뒤 "전략 선거구로 지정한다는 것은 공천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당으로서 후보를 내야한다는 주장과 이번 선거에서 야권 단일 후보가 승리함으로써 박근혜 정부에 경고해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 사이에서 오랜 시간 고민을 했다"며 "그 결과 나라와 국민을 위해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다"는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우리의 뜻을 두 후보측에서도 깊이 새기길 정중히 요청한다"며 "지난 대선 때 안 후보와 진보정의당이 국민의 희망을 저버리지 않았던 것처럼 지혜를 내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김동철 비대위원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야권 전체의 미래를 생각하는 맏형의 입장에서 공천을 하지 않기로 한 것"이라며 "민주당의 희생적 결단에 대해 국민들도 안 후보도 깊은 이해를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맏형' 언급에 대해서는 "동생들은 자기 입장에서만 얘기를 하지만 맏형은 집안 전체의 미래를 보면서 진로를 결정해야 한다"며 "형이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 결단을 내렸다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김 위원은 "박근혜 정부의 오만과 독주를 막기위해 후보를 모았다는 측면에서 보면 앞으로 민주당은 안 후보의 당선을 위해 할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야권 후보들 중 안 후보만 굳이 언급을 한 이유에 대해 김 위원은 "민주당과 안 후보의 관계만 얘기하다보니 그렇게 비춰졌다"며 "대변인 발표를 보면 안 후보뿐 아니라 진보정의당에 대해서도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마움이나 빚은 다 같다"고 해명했다.

자칫 야권연대 대상에서 김 후보 등을 제외하려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 상황을 피하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함께 참석한 민병두 의원도 "박근혜 정부 견제라는 정치적 책무는 안 후보와 김 후보 모두에게 있다"며 "특정 후보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민 의원은 "향후 노원병에서 두 후보의 단일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민주당이 노력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우리가 노력할 부분은 아닌 것 같다"면서도 "이후에 우리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공천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상황에서 두 후보 간의 연대까지 말하는 것은 많이 나간 것"이라며 "우리가 그럴 입장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태흥 서울시당 위원장을 공천한 통합진보당과의 연대와 관련해 민 의원은 "통합진보당은 대선 때 우리와 연대하지 않았다"며 "연대한 정당에 대해서만 우리가 입장을 표명한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