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 태양이 피부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화창해진 날씨로 인해 저마다 외출계획을 세우기 바쁘지만 이 때 자외선차단 계획도 함께 세우지 않으면 피부노화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봄볕 아래 나서기 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태양 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D를 합성하고 살균작용을 하는 등 이로운 역할도 하지만 사람의 피부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특히 자외선 A는 피부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해 피부 속 멜라닌 색소 생성을 촉진해 기미, 잡티의 원인이 되고 주름을 발생시켜 피부 노화를 촉진한다. 자외선 B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에 화상을 입히고 강한 염증이나 수포를 만들 수도 있다.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자외선이 가장 강한 시간인 오전 11시경부터 오후 3시경에는 야외활동은 삼가고, 외출 시에는 옷이나 모자, 양산 등을 사용해 자외선에의 직접적인 노출을 피한다. 특히 파장이 긴 자외선 A는 흐린 날에도 피부에 영향을 주고 유리창도 투과하기 때문에 흐린 날이나 실내에서도 안심할 수만은 없다. 외출 30분 전 자외선차단제를 발라주는 일은 계절에 관계없이 365일 이뤄져야 한다.
자외선차단제는 식약청에서 심사를 받은 ‘기능성화장품’ 문구가 있는 제품을 고르되 자외선 A와 B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인지를 살펴봐야 한다. 자외선 A 차단 기능이 있는 제품은 ‘PA+’, 자외선 B 차단 기능이 있는 제품은 ‘SPF’로 표시된다. 자외선 차단제를 고를 때 차단 지수가 높은 것이 자외선 차단 효과가 크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만큼 피부에 자극적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출·퇴근 등 일상생활과 간단한 야외활동을 할 경우 SPF20/PA+ 이상의 제품이면 충분하다.
평소 피부를 위해 보습에 신경 쓰는 것도 중요하다. 물을 많이 마시는 습관과 충분한 수분 공급은 각질이 생길 수 있는 환경을 없애줘 피부 각질과 주름 예방에 효과적이다. 오래된 각질은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각질제거를 하는 것도 좋다. 단 최대한 자극이 없는 제품을 골라 주 1~2회 내로 사용한다. 세안 후에는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 주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