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동 보안분실이 경찰 인권기념관으로 바꾼다
남영동 보안분실이 경찰 인권기념관으로 바꾼다
  • 민경범
  • 승인 2005.07.20 16: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거 反인권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남영동 분실을 경찰 인권의 메카로
80년대 민주화 인사에 대한 탄압의 상징적 장소였던 경찰청 보안국 보안3과 '남영동 보안분실이 29년 만에 사라진다. 경찰청 홍영기 경무기획국장은 지난 17일 기자회견을 통해 경찰청은 창설 60주년을 맞아 인권경찰로 새 출발한다는 결연한 의지로 과거 反인권의 상징장소로 인식되어 온 남영동 보안분실을 경찰 인권기념관(가칭)으로 바꾸기로 했다고 밝혔다. 남영동 보안분실(경찰청 보안3과)은, 1976년 주로 대간첩 수사업무 등을 담당하기 위해 용산구 갈월동에 자리 잡은 이후, 故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 등으로 국민들에게는 反인권의 장소로 기억되어 왔으며 경찰에게는 역사적 과오의 굴레를 간직한 시설로 무거운 짐을 안겨 주기도 했다. 경찰 인권기념관 설립 추진배경은 경찰청에서 '새경찰, 새출발'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그동안 경찰활동의 공과를 겸허히 평가하고 국민과 함께하는 선진경찰로 거듭나기 위한 경찰 창설 60주년 기념사업 중의 하나이다. 특히 과거사에 대한 성찰을 위해 허준영 경찰청장 취임 이후 경찰총수로서는 처음으로 4.19, 5.18 묘역을 참배하고 '과거사 진상규명위원회'를 발족하여 과거 의혹제기 사건의 자발적인 진상규명을 추진하고 이와 함께 경찰청에 '인권보호센터'와 자문·조정기구인 인권수호위원회를 설치하고 인권보호 종합추진계획인 'Project 1004'를 시행하는 등 인권 최우선의 직무풍토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과거사 진상규명 사업과 아울러 보안분실의 이전과 인권기념관 건립 추진을 준비해 왔다. 경찰 인권기념관은 과거 민주화 과정에서 부당한 공권력 행사로 희생된 선인들의 추모공간과 인권史 전시관 등을 통해 민주·인권의 역사를 기억하고 인권교육·체험 공간 등을 통해 인권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는 한편 인권신고센터 및 상담센터를 비롯한 인권 관련 경찰업무 시설 등으로 구성하고 경찰뿐만 아니라 시민들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인권 상징시설로 추진할 계획이다. 경찰청에서는 그동안 종교·법조계 및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경찰청 인권수호위원회,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시민감사위원회 등과 의견 교환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온 가운데 7월말까지 보안3과 이전과 함께 인권보호센터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입주를 완료함으로써 인권시설개관의 서막을 알리는 한편 이후 리모델링 작업을 추진하여 2006년 6월까지 기념관 모든 시설을 갖추어 정식 개관할 예정이다. 1976년에 건축된 남영동 보안분실은 대지 3000여평에 건평 1600여평으로 7층 본관과 2층짜리 부속건물, 2층짜리 별관과 테니스 코트 2면 등으로 구성됐다. 치안본부가 1991년 경찰청으로 개편되면서 대공분실에서 보안분실로 이름을 바꿔 현재는 대공, 방첩업무를 기본으로 탈북자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후 2000년 리모델링을 계기로 5층의 조사실은 모습은 바뀌었으나 박종철씨 고문실이었던 509호실은' 역사보존 차원'에서 욕조와 변기, 침대 등은 원형 보존되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