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금정굴 유골발굴 재개 전망
고양 금정굴 유골발굴 재개 전망
  • 전명희
  • 승인 2005.07.21 0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양 금정굴 학살사건의 희생자 유골
6.25 전쟁 민간인 학살 사건중 하나인 '고양 금정굴 학살사건'의 실체 규명을 위한 발굴 작업이 10년만에 재개될 전망이다. 고양시는 20일 2천700만원을 들여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 유해발굴센터에 의뢰, 금정굴 학살지 발굴 예비조사를 한달간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市)는 이에 따라 21일 오후 유족회와 고양지역 17개 단체로 구성된 고양 금정굴 공대위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학살규명을 위한 금정굴 화해 상생제를 지낸뒤 예비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시는 다음달말 예비조사 결과가 나오면 발굴시기와 방법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이번 예비조사는 유골이 더 남아 있는지와 학살지 보존 방법, 서울대에 보관중인 기 발굴 유골을 포함한 유골 안치 방안 등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고양 금정굴 학살사건은 6.25 전쟁 당시 수백명의 민간인이 학살돼 금정굴에 암장된 사건으로 1993년 9월 유족과 고양지역 시민단체들에 의해 처음 알려진 이후 1995년 9월 유족들에 의해 1차 발굴작업이 진행됐으며 이때 여자와 어린이를 포함해 160여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유골이 발굴됐으나 붕괴 위험과 재정 문제로 49일만에 중단됐다. 당시 발굴된 유골은 서울대에 보관중이다. 유골 발굴작업은 그동안 금정굴 위령사업, 현충탑 재건립 등과 맞물려 공대위와 보수 우익단체 간에 갈등을 빚으면서 미뤄져오다 지난해말 두 사업 공동추진에 합의, 이번에 재개하게 됐다. 한편 시는 일산서구 덕이동 산 365의 4 4천900여평에 내년말까지 현충탑을 재건립하기 위해 1억5천만원을 들여 실시설계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희생자들의 혼과 유족들의 아픔을 위로하는 것은 물론 50여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이념 갈등에 의한 민족의 상흔을 치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