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강 수질개선 사업에 참여한 코오롱워터텍이 관련 공무원과 심의의원들에게 10억원이 넘는 현금을 건넨 사실을 보여주는 문서가 공개됐다. 문서에 따르면 이 돈은 2009년부터 3년간 휴가비, 명절 사례비, 준공 대가 등의 명목으로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거래위원회, 환경부 등 정부기관에도 현금을 지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현금 로비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큰 파문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우원실 민주통합당 의원이 입수해 17일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코오롱워터텍은 지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환경부 소관 4대강 사업의 총인사업 입찰에 참여하면서 심의위원들과 지자체 담당 및 계약 담당자 등에게 휴가비, 명절 떡값, 준공 대가를 현금으로 전달한 것이 드러났다.
총인(Total Phosphorus)은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물속에 포함된 인의 총량을 말하며, 녹조 발생의 원인 중 하나다. 정부는 4대강 총인 처리 시설을 설치하는 데 약 6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총인 처리 사업 심사의원은 환경부 및 한국환경공단 등 내부위원과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주총인의 경우 심의위원에게 1200만원, 지자체에게 2억1350만원 등 총 2억1550만원을 현금으로 지급했다. 이는 공급가액 33억5000만원의 6.7%에 달한다.
경산총인 사업의 경우 심의위원에게 1200만원, 지자체 관계자에게 5000만원 등 총 6200만원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춘천총인 사업에선 공급가액의 6.8%에 달하는 2억6880만원을, 경산총인에선 6200만원 등을 지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사업별로 현금 집행자와 거래선을 명시하고 있는데, 한국환경공단 감독관, 하수과장, 계장, 감리 담당 등에게 휴가비와 명절 떡값, 준공 대가 등으로 수차례 나뉘어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휴가비는 2011년 8월초 계약 담당자들에게 집중 로비되었고 준공 대가는 사업별 준공시기에 따라 집행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명절 떡값은 2011년 9월 초 추석 이전 준공되는 현장 이외의 사업장의 지자체 및 환경공단 감독관에게 전달된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춘천총인의 경우 심의위원들에게 2,500만원, 지자체 담당자에게 4,380만원을 지급하였는데, ㅅ주사에게 공법사 선정 시 공헌한 명목으로 1000만원, 낙찰률이 93%인 계약담당자에게 3천 만원 등 지급 이유까지 명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조달청 계약담당, 공정거래위원회, 환경부 등 관련 정부 기관에도 현금을 지급한 것으로 기록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건에는 2011년 8월초 조달청 계약담당에 최소 500만원에서 최대 2500만원까지 휴가비 명목으로 현금으로 전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정위 관계자에는 2010년 말, 2011년 7월 1100만원, 1000만원 두 차례 집행됐고,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도 수차례에 걸쳐 3300만원이 집행됐다. 골프접대도 2011년도 내내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우원식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총인사업의 담합 정황이 고발되어 현재 감사원 감사가 진행 중인데, 이번에는 해당 공공기관, 지자체 등에 대한 업체의 로비가 광범위하게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 차원의 진상 규명과 별도로 국회의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