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갑 “시간 지나봐야 알 수 있을 것”
한화갑 민주당 대표가 국정원의 불법도청사건 중간조사 결과에 대해 국가경영상 도청은 불가피한 일이라며, 정치적 의도가 깔려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현 정부가 도청을 하는지 안 하는지는“시간이 지난 후에 확인해봐야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 정부에서 당대표를 지내는 등 핵심인물이었던 한 대표는 6일 MBC라디오 시사프로그램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국민의 정부 시절 도청에 대해 “합법이냐 불법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 모든 나라에서 정보기관의 도청은 관례”라며“도청 자체를 죄악시 할 것이 아니라 도청이 필요했느냐를 평가해야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또 "국정원 발표에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나는 그러한 추측을 한다"고 답했다. 그는 그러나 "이런 문제가 터지면 정치적으로 어떻게 이용해서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하고 방해세력을 어떻게 제거할 지하는 보복 차원이 있으므로 앞으로 어떻게 할 지 짐작은 가지만 얘기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단순히 도감청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다음 단계인 국내 정치 분야에 이것이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 어떤 파장을 가져오느냐, 정부여당에선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려고 하느냐”라며“우리 정치가 그런 방향으로 늘 해결점을 찾고 대립돼왔기 때문에 순수한 그런 차원에서 문제 해석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 정부 시절 도청과 관련, 대통령이 도청 자료의 보고를 받았는지 혹은 다른 비선을 통한 보고가 있었는지에 대해 한 대표 자신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비선을 통한 보고로 박지원씨나 권노갑씨를 언급하는 것에 대해서는 “확증 없이 얘기하는 것도 또 다른 인권침해”라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한 대표는“이런 문제를 다루는데 중요한 것은 국민에게 어떤 이득이 있느냐가 중요하지 정권을 잡은 사람한테 관련이 있다 없다를 논하는 건 국가경영차원에서 조금 낮은 단계의 처리다”면서 “심지어 각 정당들이 우리 당하고는 관계없다, 이런 말들을 하는데 그럼 정당이 국민을 상대로 정치하는데 국민의 일상 생활하고 관계 있는 것이 왜 정당하고 관계가 없는가”고 되물었다.
한 대표는 천용택 전 국정원장이 불법도청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서는 "원장이 모른다고 볼 수 없다"고 동의한 뒤 "나도 신문에서 (국민의 정부 시절) 실세로 표현되긴 하지만 도청정보를 접해본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한 대표는 국정원 발표에 정치적 의도가 개입돼있다며 “이는 단순히 도ㆍ감청 문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으로 어떤 파장을 가져오고 다시 이를 여야가 어떻게 활용할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며 조사결과 발표가 가져올 또다른 파문을 예고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