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 정치적 이용 더 이상 당하지 않는다.
위안부 할머니, 정치적 이용 더 이상 당하지 않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4일 예정됐던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일본 유신회 공동대표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명의 면담이 끝내 취소됐다.

지난 18일부터 일본 전국에서 순회증언집회를 열고 있는 일본군위안부 김복동(87) 할머니와 길원옥(84) 할머니는 이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을 통해 긴급 보도자료를 내고 하시모토 대표와 면담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할머니들은 "하시모토 대표가 이번 면담에서 사죄 퍼포먼스 격으로 무릎을 꿇는 등의 각본을 준비했다는 사실을 입수했다"며 "그의 시나리오에 들러리 설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논란을 빚었던 위안부 발언 후에도 망언을 계속하고 있는 그의 태도가 반성하지 않았음을 대변한다"며 "하시모토 대표는 면담의 대상이 아니라 심판의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하시모토 대표의 사죄 퍼포먼스는 자신의 반인권적 발언이 아시아의 양심적인 시민사회는 물론 유엔과 미국 등의 비판으로 이어져 곤란한 처지에 빠지자 나온 자구책이자 강구된 각본"이라고 비난했다.

할머니들은 "그가 진심으로 반성한다면 내뱉은 망언을 철회하고 공식 사죄해야한다"며 나아가 정계은퇴를 주문했다.

마이니치 신문에 따르면 하시모토 대표는 이번 면담에서 "일본 정부는 위안부에 대한 법적 책임이 있다"는 견해를 밝힐 예정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위안부에 대한 배려를 강조해 자신의 발언에 대한 비판을 피하려는 목적만은 분명해 보이나 "위안부 문제는 법적으로 완전히 해결됐다"는 그간 일본 정부의 견해와도 상당부분 괴리가 있는 내용이다.

신문은 하시모토 대표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메일을 여러 당 간부들에게 발송했다고 전했다.

일본유신회 한 관계자는 "하시모토 대표가 면담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명기한 후 지원금의 형태로 보상금을 지급하는 법안을 제출하는 것까지 시야에 넣고 있었다"고 밝혔다.

한편 면담이 이뤄질 예정이었던 오사카 시청 인근에는 이날 위안부 지원 단체 등 100여명이 모여 하시모토 대표에 대한 항의 시위를 진행했다.

이들은 하시모토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는 플랫카드를 내걸고 할머니들이 면담을 거부한 이유 등이 담긴 문서를 행인들에게 배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