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태권도 관장을 자살로 몰고간 '편파판정'
한 태권도 관장을 자살로 몰고간 '편파판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년 동안 태권도장을 운영하면서 꿈나무 선수들을 양성해 온 전밀중 관장이 지난 28일 오후 1시경 충남 예산군의 한 사찰 인근 공터에서 자신의 차량에 번개탄을 피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채로 발견됐다.

전 관장이 쓴 유서로 추정되는 글에는 오랫동안 악의적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은 것에 대한 고통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결정적 사건은 전 관장의 아들이 출전한 전국체전 서울시대표선발전이다. 전 관장은 유서를 통해 경기 마지막까지 이기고 있던 자신의 아들이 5대 1로 앞서던 중 50초를 남기고 7차례 연속 경고를 받으며 반칙패 당했다고 밝혔다.

이 글에는 해당 경기 주심을 맡은 심판은 인천시태권도협회 상임심판으로 전 관장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매번 전 관장의 선수들에게 부당한 판정을 일삼아 왔다고도 적혀 있다.

인천에서 도장을 운영하고 있는 전 관장이 두 명의 자식을 서울로 진학시킨 이유도 이 때문인데 예상외로 서울에서도 같은 심판을 만나 부당한 대우가 이어되자 크게 괴로워했던 것으로 보인다.

비보를 듣고 참담해 하던 한 지도자는 “글을 읽어봤다. 전 관장님이 한두 번 했던 이야기가 아니다”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전 관장이 유서에 실명을 언급한 해당 심판은 현재 대한태권도협회(회장 김태환) 기술전문위원회와 인천시태권도협회 및 서울시태권도협회 상임심판으로 활동하고 있다.

태권도 겨루기 경기에서의 심판 판정에 대한 의혹은 늘 어려운 숙제였다. 몇 해 전부터 세계태권도연맹(총재 조정원)과 대한태권도협회가 전자호구, 영상판독을 적용해 불만이 줄어들긴 했지만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심판의 재량에 달린 경고 규정 등은 여전하다.

대한태권도협회와 서울시태권도협회는 사건을 인지하고 자체 조사에 들어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