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 국정원장 갈등 표면화
전·현 국정원장 갈등 표면화
  • 김부삼
  • 승인 2005.08.23 23: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DJ정부 국정원장들“도청결백”입장표명
‘국민의 정부 시절 불법도청이 이뤄졌다’는 국가정보원의 발표이후 김대중(DJ)정부 시절 국정원장들이 조만간 집단으로 입장을 발표키로 하는 등 전·현 국정원 간 갈등이 표면화될 조짐이다. 특히 검찰이 지난주 사상 첫 국정원 압수수색을 통해 도. 감청 장비를 압수해 가는 등 상당한 물증을 확보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고, 전직 국정원장과 차장에 대한 본격 소환조사가 임박해져 오면서 긴장감 마저 감돌고 있다. DJ정부 국정원 고위간부를 지낸 한 인사는 “김대중 정부하에서는 통신비밀보호법이 규정하는 합법적인 감청외에 그 어떤 불법적인 도청도 없었다는 데 전직 국정원장들이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면서 “그들은 자신들의 결백을 주장하기 위해 ‘언론을 직접 접촉하겠다’며 김승규 국 정원장에게 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현행 국정원직원법에 따르면 전직 국정원 직원들이 언론을 접촉하거나 검찰에 출두해 과거 직무와 관련된 사항을 진술할 경우 현 국정원장의 사전허가를 받도록 규정돼 있다. 그러나 김 원장은 현재까지 이에 대한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실제로 집단 기자회견 등 공동대응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김대중 정부 시절 국정원장은 이종찬(1998.3~99.4)-천용택 (~99.12)-임동원(~2001.2)-신건(~03.4)씨 등이다. 김 전 대통령측은 "전직 국정원장들의 인품이나 경력으로 볼때 그런 일(불법 도청)을 할 분들이 아니다"는 DJ의 애초 입장은 변함이 없지만, 이들의 집단 대응 등에는 "김 전 대통령과는 관계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들은 최근 잇단 접촉을 갖고 국민의 정부 불법 도청 발표에 대 해 정면 대응키로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직 국정원 고위간부는“김 원장이 취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조사가 이뤄져 졸속으로 진상조사가 진행됐으며 발표도 성급했다고 전직 원 장들은 보고 있다”면서 “내부에서 수사를 지켜보자는 신중론도 있었지만 입장표명이 오히려 검찰 수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입장을 표명키로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도청사건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도청 수사팀은 이번주 중 김영삼정부 시절 안기부 1차장을 지낸 오정소씨와 DJ정부 국정원 장을 지낸 천용택씨를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검찰은 지난 19일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 청사를 압수수색 해 김대중 정부 시절 국정원의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방식 휴대전화 감청장비인‘카스’ 사용신청 목록을 확보, 이를 집중 분석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