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22.2%가 불안장애 잠재군’
‘직장인 22.2%가 불안장애 잠재군’
  • 하창현
  • 승인 2005.08.24 11: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복지부 보고서...생산직 여성 불안ㆍ우울 장애 심해
의욕ㆍ집중력 저하도 두드러져 직장인 3명중 1명이 실직 가능성, 과도한 업무, 상사나 동료와의 불화 등으로 인한 불안장애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학교 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이 최근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직장인의 22.2%가 불안장애 잠재군으로, 9.8%는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조사는 남녀 직장인 3천73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특히 여성의 불안장애가 더욱 심각해 생산직 여성의 경우 29%가 잠재군, 15.2%가 위험군으로 드러났다. 생산직 여성의 절반 가까이가 불안장애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사무직 여성도 22.5%가 잠재군, 5.5%가 위험군인 반면 사무직 남성은 12.6%가 잠재군, 3.9%가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생산직 남성은 13.5%가 잠재군, 2.4%가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남녀 모두 20대 연령층과 직장근무 2-5년차가 불안장애를 많이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직장인들 가운데 상당수는 우울장애에도 시달리는 등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생산직 여성의 경우 우울장애 잠재군이 17.8%, 위험군이 6%나 됐고, 사무직 여성은 9.5%, 0.5%였다. 생산직 남성은 잠재군이 4.4%, 위험군이 0.2%였고, 사무직 남성은 6.1%, 0.9%였다. 이처럼 불안, 우울장애 등에 시달리는 직장인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데다 집중력 저하와 의욕 저하 증세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의욕저하증은 건강군이 12.3%에 그친 반면 잠재군은 56.9%나 됐고 위험군은 82.2%에 달했다. 집중력 저하증의 경우 건강군은 7.2%였으나 잠재군은 27%, 위험군은 41.6%였다. 이에 따라 잠재군 가운데 심각하게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는 비율이 33.2%나 됐고, 위험군은 절반을 훨씬 넘는 57.6%에 달했다. 반면 건강군은 6.7%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조사 결과 사무직은 강도높은 업무와 장시간 근무, 상사와의 갈등, 수직적 위계질서 등이, 생산직은 상사 및 동료와의 갈등과 잦은 특근 등이 스트레스의 주요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