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구소 “北, 1∼2개월 이내 영변 원자로 재가동” 가능성 제기
한미연구소 “北, 1∼2개월 이내 영변 원자로 재가동” 가능성 제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8노스 “더 많은 핵폭탄을 만들기 위해 플루토늄 생산하려는 것”

한미연구소는 지난 3일 북한이 이르면 1~2개월 후에 핵무기용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는 영변 핵시설을 가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존스홉킨스 국제관계대학원 산하단체인 한미연구소는 이날 발간한 보고서에서 지난달 22일 촬영한 상업위성 사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관측했다.

연구소는 북한이 최근 5MW급 가스흑연 원자로와 20~30㎿급 실험용 경수로 원자로(ELWR)를 포함해 영변 핵시설 가동을 위한 중요한 진전을 이뤄낸 것으로 보고있다.

원자로 재가동에 필요한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원자로 2차 냉각을 위한 새로운 장치는 거의 완공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한미연구소의 북한 관련 웹사이트 ‘38노스’를 운영하는 조엘 위트 전 국무부 북한담당관은 “5㎿급 원자로를 가동하려는 것은 틀림없이 더 많은 핵폭탄을 만들기 위해 더 많은 플루토늄을 생산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지금 당장 장거리 미사일이나 핵무기 실험은 하지 않고 있지만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은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원자로가 완전 가동되기까지는 9~12개월간의 시험가동 기간이 필요하며 영변 원자로의 재가동은 새로운 연료봉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제사회는 큰 우려를 뜻을 나타내고 있다.

5일 군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의 군사회담에 참석한 중국군 고위 인사들은 한반도 비핵화를 강조하며 ‘북한의 핵무장화에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 또한 군사회담에 참석한 중국군 고위 인사들에게 북한의 핵무장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팡펑후이(房峰輝) 중국군 총참모장은 4일 “한반도 비핵화는 동복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한반도 비핵화가 필요하다”며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한편, 북한은 지난 4월 초 5㎿급 흑연감속로를 포함한 영변 핵시설을 가동하겠다고 선언, 6자회담 합의 파기와 핵무기 생산 뜻을 밝혀 국제적 논란을 야기한 바 있다. 이러한 북한의 움직임은 북미대화 및 6자회담 등에 중요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