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여성 정치인 네트워크 구성

국회 여성가족위원회는 일본 정치인들의 일본군 위안부 역사왜곡과 망언·망동에 적극 대응하고 국제공조 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국회 여가위 소속 새누리당 김희정·류지영·김현숙 의원, 민주당 유승희 의원은 5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일본에서 다시 한번 하시모토의 발언과 유사한 행동을 취할 경우 공동 행동을 통해 일본이 일제의 이웃나라 침탈에 대해 정부차원에서 사과하고 법적 배상을 요구할 것이며 역사왜곡 시도를 중단토록 촉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아시아 여성 정치인 네트워크를 구성해 아시아 국가들이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공동노력을 펼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난 5월 27일부터 6월 3일까지 국회 여가위 소속 공식방문단 자격으로 일본, 필리핀, 대만을 방문했다.
일본에서는 마츠시마 미도리(자민당) 위원장을 비롯해 키쿠타 마키코(민주당) 의원, 미야모토 다케시(공산당) 의원 등 6명의 의원을 만나, ‘일본군 위안부 등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 규탄 성명서’를 전달했다.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민간단체인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 자료관’을 방문해 의견을 교환했다.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가브리엘라 여성당 직능단체 하원의원인 이야간(IIagan)의원과 헤우스(Jesus)의원을 만나 향후 일본 내에서 하시모토 망언과 같은 사안 발생 시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또한 대만을 방문해 대만 행정원 성별평등처장과 왕진핑 입법원장, 유메이니 의원과 린쓰자 의원과 일본의 역사왜곡과 군국주의로의 회귀를 막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민주당 여성위원장인 유승희 의원은 “일본의 우경화와 군국주의 미화 흐름 속에서 다른 나라 정치인들과 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공감했다”고 밝혔다.
이어 “필리핀과 대만 정치인들은 매우 적극적으로 호응했으며 일본에서도 일부 민주당 여성 의원들이 충분히 함께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김현숙 새누리당 의원은 “필리핀, 대만 여성의원들과는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상당한 인식차가 있었다”며 “일본 여성 정치인들은 인도적 차원에서 여성 인권 부분과 망언에 대한 사과엔 동의했지만, 배상 문제에 대해선 65년 한일협정으로 배상이 끝났다고 해 이견이 있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