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60주년, UN참전국 후손 참여 평화의 거리 조성
정전 60주년, UN참전국 후손 참여 평화의 거리 조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UN참전국 국기 21개 게양 및 양귀비꽃 헌화, 추모비 관람 등

국립대전현충원(원장 민병원)은 올해 정전 60주년과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6·25전쟁에 기여한 UN참전국을 널리 알리고 숭고한 뜻에 감사하는 마음을 확산시키기 위해 ‘평화의 거리’를 24일 조성한다.

이 평화의 거리는 정문 주 도로변 태극기 거리 왼쪽에 UN기와 UN참전국 21개의 국기(2.7m × 1.8m)를 게양하여 조성하고 UN참전국 소개패널을 해당국기 게양대에 부착하며 7월 31일까지 운영한다.

이날 행사는 현충탑 참배, 개식, 환영인사, 대형 UN기(4.5m × 3m) 행진, UN참전국 국기 게양, 단체 기념촬영, 폐화를 활용한 추모조형물 제단에 양귀비꽃 헌화, 민원안내실 앞 UN참전용사에게 추모와 감사의 엽서쓰기, ‘플란더스 들판에서’ 추모비와 전체 묘역·시설물 관람 순으로 진행된다.

UN참전국 후손으로 한남대학에 재학 중인 캐나다, 이탈리아, 인도, 태국, 필리핀 등 5개국 학생, 6·25참전유공자 대전지부장, 덕송초등학교 학생 등이 참석해 대형 UN기를 들고 정문에서 태극기거리까지 행진한다.

양귀비꽃은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은 현충일인 포피데이(‘양귀비의 날’)에 가슴에 다는 추모꽃이고, ‘플란더스 들판에서’ 추모비에 새겨진 글은 1차 대전 당시 격전지를 찾은 캐나다 출신 군의관인 존 매크리 중령이 전쟁터에 피어난 양귀비꽃을 보고 지은 추모글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