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시사매거진 2580’ 국정원 내용 불방
MBC ‘시사매거진 2580’ 국정원 내용 불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YTN에 이어 MBC 까지 …흔들리는 공영방송

국가 정보원의 정치 및 대통령 선거개입사건의 파장이 확산되는 가운데 YTN의 국정원 관련 기사가 방송이 중단된 데 이어, MBC 시사 프로그램에서도 국정원 사건을 다룬 방송이 불방돼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정권의 시녀로 전락한 방송이라는 오명이 재현되고 있다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정원 관련 보도 불방 사태를 통해 공영방송의 현주소를 짚어봤다.

 
▲ 23일 MBC <시사매거진 2580> 방송분 가운데 국정원 관련 기사가 비어있다. ⓒMBC화면캡처
 
국정원 다룬 내용 통편집 당해 외압가능성?
YTN, 국정원 SNS 개입 단독보도 방송중단
MBC ‘국정원 관련 보도’ SBS 절반도 안돼
 
최대 정치 현안으로 부각된 국정원 사건과 관련해 MBC ‘시사매거진 2580’이 제작한 방송이 불방됐다. MBC는 지난 23일 방송된 <시사매거진 2580>에서 검은 먼지의 공포’, ‘조합도 모르는 재건축’, ‘국정원에서 무슨 일이등 총 3개의 기사를 보도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하지만 당일 국정원에 무슨 일이꼭지는 통편집을 당하는 수모를 당했다.
 
해당 꼭지는 검찰의 국정원 정치 대선 개입 사건과 관련하여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서울경찰청장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한 검찰의 수사결과 내용, 국정원과 원 전 원장의 반론, 이를 둘러싼 여야의 목소리 등을 다룰 예정이었다.
 
국정원 사태 보도못하는 이유는?
 
국정원에서 무슨 일이꼭지가 불방되는 사태는 <시사매거진 2580> 담당 부장인 심원택 시사제작2부장이 내용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면서 비롯됐다.
심 부장은 사건의 본질은 전·현직 국정원 직원과 민주당의 정치공작이라며 편향된 검찰이 편파 수사를 했으니 그 점을 기자의 시각으로 지적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시사매거진 2580> 데스크는 기사에는 여야의 인터뷰로 양측 주장이 균형 있게 담겨 있다며 항의했다. 심 부장은 경찰의 수사 은폐와 조작’, ‘원 전 원장의 간부회의 지시 내용부분을 삭제해 기사를 줄이라고 요구했다. 데스크는 여러 차례 기사를 수정해 기사를 다시 제출했으나, 심 부장은 방송불가를 고집했다고 전했다.
 
이에 시사제작국장과 시사제작국 팩트체크 팀장이 나서 검찰 수사 결과 발표문을 인용한 은폐’, ‘조작’, ‘허위라는 표현을 삭제해 중재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심 부장은 이 마저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한다.  시사매거진 2580’ 소속 기자들은 성명을 통해 불방 사태를 비판했다. 시사매거진 기자는 방송 후 자신의 트위터에 불방 역시도 역사를 기록한다고 할 수 있겠지만, 언제까지 이런 치욕의 역사만 기록해야 하는지 암담하다고 적었다.
 
MBC가 국정원 사건을 다룬 방송을 불방하자 <시사매거진 2580> 시청자 게시판에는 항의하는 글들이 올라왔다. 한 시청자는 민주주의 근간을 흔드는 국정원 사태를 보도를 하지 못하는 이유는?”이라며 지적했고, 또 다른 시청자는 “MBC는 허가 취소가 불가능한가라며 비난의 글을 올리기도 했다.
 
한편 최민희 민주당 의원은 성명을 발표해 국정원 선거 개입을 두고 새누리당이 끊임없이 물타기를 시도하며 왜곡된 정치공세를 퍼붓는 과정에서 발생한 <시사매거진 2580>국정원 기사 불방사태를 매우 엄중한 사건으로 판단한다고 성토했다.
 
이 같은 방송사의 태도는 시사매거진 2580’ 사례뿐만이 아니다. YTN이 단독 보도한 국정원 직원의 트위터 댓글 공작 의혹 보도가 중단된 일도 있었다.
 
▲ YTN이 20일 보도를 중단한 ‘국정원 SNS 박원순 비하글 2만 건 포착’ 리포트의 장면. ⓒYTN 뉴스 캡처
 
YTN 노조 “5공시절 회귀
 
YTN은  20일 지난해 9~12월 삭제된 트위터 계정 가운데 국정원의 것으로 보이는 의심계정 10개를 복원해 박원순 시장과 반값등록금, 무상보육 등을 비판하는 트윗을 무더기로 찾아냈다고 단독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많은 언론사가 이를 인용 보도했으나 정작 YTN 간부들이 해당 리포트 방송을 중단시켰다는 주장이 나왔다. 더구나 국정원 여론조작관련 단독보도를 했던 YTN 기자가  국정원 직원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뒤 곧바로 리포트가 누락됐다는 주장까지 제기돼 파문이 증폭되고 있다.
 
YTN 노조에 따르면 국정원 직원은 YTN 기자에게 전화를 걸어 국정원 입장도 반영했으면 한다는 말과 함께 보도국 회의에서도 해당 기자의 리포트에 대해 기사 내용이 좀 어렵고 애매하다는 지적들이 있었고, 과연 단독이라는 말을 붙일 수 있느냐는 의견들이 나왔다고 하니 참고하라고 했다고 것.
 
YTN노조는 국정원이 언론사의 보도국 회의 내용까지 파악하고, ‘입장을 전달하고, 이후 실제로 방송이 중단돼 버린 상황은 국정원이 언론사의 보도까지 통제하는 5공 시절의 회귀를 뜻하는 것이라며 편집부국장 개인이 리포트 내용이 좀 어렵고 애매해서 방송을 중단시켰다는 보도국장의 해명에 중대하고 심각한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라며 반발했다.
 
YTN지부의 주장에 대해 YTN 사측은 노조가 억측으로 사실을 왜곡한다며 반박했다.
이홍렬 보도국장 이름으로 낸 입장을 통해 YTN“YTN의 어느 간부도 보도국 회의 내용을 국정원 간부에게 전해준 사실이 없으며 노조의 주장은 사실이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고 주장했다.
언론의 보도 기능이 위축되고 있는 조짐은 MBC <뉴스데스크> 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MBC서 홀대받은 뉴스는?
 
MBC <뉴스데스크>의 사회 현안을 다루는 보도 기능이 축소되고 있다는 주장이 통계 자료로 제시됐다.
 
언론노조 MBC 민주언론실천위원회(이하 민실위)는 김장겸 신임 보도국장이 취임한 지난 523일부터 621일 까지 30일간 뉴스테스크가 다룬 상위 10개 리포트 300개를 비교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MBC <뉴스데스크>는 국정원 관련 리포트 11, 단신 3개를 내보내는 동안 SBS <8뉴스>는 리포트 19개로 비중있게 다뤘다. 하지만 MBC <뉴스데스크>는 국정원 관련 보도를 타사에 비해 소홀히 다룬 것은 물론 후순위에 기사를 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를 후순위로 배치할 경우 전국 시청자들이 볼 수 없게 된다. 이는 후순위에서는 지역 방송국이 자체 방송한 내용이 송출되기 때문.
 
MBC는 국정원 관련 보도만 SBS와 다른 비중을 보인 것은 아니였다. 자료에 따르면 MBC는 대기업 문제와 원전 비리 사건 등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보도가 SBS에 비해 심각하게 축소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BS는 대기업과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조세피난처에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한 <뉴스타파>의 발표가 있을 때 마다 톱 블록에 배치해 5개의 리포트를 보도했다. 또한 CJ 이재현 회장과 관련된 보도는 8, 전두환 노태우 재산환수와 관련된 보도 8개 등 모두 27개의 리포트를 톱 10 안에 방송했다.
 
반면 MBC <뉴스데스크>는 조세피난처 2, CJ 이재현 회장 5, 전두환 노태우 재산환수 3개 등 9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MBC는 사회적 현안에 대한 고발 기사 대신 사건·사고 기사에 집중했다.
 
민실위는 현재의 상황이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며 관련자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