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폭력 근절 위해 대체 방안 마련
사이버 폭력 근절 위해 대체 방안 마련
  • 정흥진
  • 승인 2005.09.13 19: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인정 되어져야 하는 것인가.
13일 이해찬 총리 주재로 열린 ‘4대 폭력 근절 관계장관회의’에서는 제한적 인터넷 실명제와 제 3의 기관에서 명예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인터넷 가처분제 외에 사이버 폭력죄에 대한 신설도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근 급증하는 인터넷상의 사이버 폭력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행하고자 하는 이 방안은 인터넷상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는 네티즌들과 관계되어 치열한 논쟁을 불러일으킬 전망이다. 현행 법률에 의하면 명예훼손의 경우 피해자가 가해자의 처벌을 원치 않을 경우에는 처벌을 할 수 없게 되어있다. 또한 모욕죄 역시 피해자가 고발할 의지가 없다면 수사를 할 수도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상에서 벌어지는 명예회손 등도 마찬가지로 피해자가 고발을 하지 않으면 수사를 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현행 형법의 개정에 의해서가 아닌, 특별법이나 정보통신망법 개정 등을 통해 피해자가 고발 의사가 없더라도 명예회손이나, 모욕, 성희롱, 스토킹에 대한 수사와 처벌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 관계자는 사이버 범죄가 오프라인에 비해 파급력과 피해가 훨씬 크기 때문에 최근 급증하고 있는 사이버 폭력에 대응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는 네티즌들과 익명성의 특성으로 인해 사이버 폭력의 그늘을 지우려는 정부의 노력 사이에 팽팽한 긴장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 되어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