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지원 대책 절실
여성가족부는 14일 양승주 가족정책국장 주재로 열린 브리핑에서 ‘미혼모 현황 및 욕구조사’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8월1일부터 22일까지 전국 미혼모시설 11개소에 입소한 미혼모 238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는 전체 인원 중 21~25세의 미혼모가 45.8%로 가장 많았고, 16~20세가 31.5%, 26~30세가 14.2%로 대부분 20대 초반이 많았으며, 1.7%는 15세 이하의 청소년도 있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시기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의 미혼모들이 임신 3개월 이전에 임신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답했고, 9개월이 되어서야 알았다는 미혼모도 1.3%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모들이 임신을 하게 된 이유를 살펴보면, 교제 중에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된 경우가 66%로 가장 많았으며, 피임에 실패해서가 16%로 뒤를 이었다. 또한 성폭행을 당한 이유로 임신을 한 경우도 3.8%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아기를 갖기 위해 임신을 한 경우(7.5%)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대부분이 아기를 원치 않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임신을 하게 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28.6%에 해당하는 미혼모들은 미혼상태에서 이미 출산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고 답해 미혼모의 재 임신, 재 출산 문제가 매우 심각함을 나타냈다.
미혼모들이 미혼부를 만나게 된 계기에 대해서는 대부분 친구소개(37%)나 우연한 계기(16.4%)에 의해서 만나 자연스런 이성교제를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제 중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이후에는 헤어지는 경우(62.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예상치 못한 임신과 출산을 미혼모 혼자서 감당해야 하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미혼모들은 아기를 출산하게 된 경우에는 68.3%가 입양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기를 양육함에 있어서 경제적인 문제(73.0%)가 가장 큰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직접 양육을 하게 될 경우에도 역시 경제적 지원(43.8%)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들의 이해(24.7%) 등의 도움 역시 미혼모들에게는 절실히 필요하다는 의견이 경제적 지원의 뒤를 따랐다. 이에 입양을 선택한 미혼모들의 37%는 경제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아기를 양육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미혼모들에게 경제적인 지원과 분만지원, 상담 등이 사회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으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아기를 양육하기로 결정한 미혼모들에게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미혼모시설의 운영을 개편해 분만과 아이들의 의료지원, 자활 프로그램 등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혼부모에 대한 상담 및 정보지원 센터를 운영하고,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원하는 등의 종합적 지원대책을 위한 노력을 다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