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위원회이자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청년위원회가 16일 제1차 위원회를 개최했다.
청년위는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한 가운데 열린 이날 회의에서 ▲청년 일자리 창출 ▲청년발전 정책 추진 ▲청년 소통 및 인재양성을 3대 추진전략으로 제시했다.
이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위원회 내에 일자리 창출 분야 위원장 신용한, 청년발전 위원장 손수조, 소통·인재 위원장 박칼린 등을 임명해 3개 분과위원회를 설치하는 한편, 각 분과위별로 전문가가 참여하는 '실무위원회'를 두기로 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남민우 청년위원장의 '청년위 운영방향' 보고와 이인재 노동연구원장의 '청년 일자리 현황 및 과제' 브리핑에 이어 청년 취업과 창업, 해외취업 등 일자리 창출 방안과 청년 소통 및 인재 문제 등을 논의했다.
청년위는 회의에서 3대 추진전략 가운데 청년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숨어 있는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교육·노동·시장을 융합해 범부처적 청년고용 대책을 마련해 이를 관계부처에 제안할 계획이다.
청년 정책과 관련해서는 국민·현장·협업 중심이라는 원칙 아래 각종 정책을 조율해 실질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청년 소통을 위한 구체적인 과제로 청년위는 우선 위원회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광화문 KT빌딩 1층의 녹색성장관을 '창조경제 청년마당'으로 개조해 청년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만남의 장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 ‘창조경제 청년마당’은 오는 11월 개장을 목표로 미래창조과학부와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또 청년 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소통체계도 만들고 위원들이 참여하는 멘토링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우리나라의 젊은 청년들이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교육환경과 사회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며 "각 부처가 청년위와 협력해서 그런 청년사회를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청년위는 관련 정책의 대상이 되는 '청년'의 범위를 19~39세로 정의했다. 이 범위에 들어가는 청년들은 약 1538만 명으로, 고령화와 정책의 포용성을 감안해 통계청의 인구조사상 청년층부터 2차 베이비붐 세대, X세대 등을 아우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