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경찰대 인원 확대 통한 범죄발생 증가 억제해야
서울의 지하철 범죄가 날로 증가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하철은 서울지역 대중교통수단 중 수송 분담율 24%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에 대해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소속 열린우리당 심재덕의원은 27일 열린 서울지방경찰청 국정감사에서 "2001년 1900여건이었던 범죄 발생 건수가 2002년 1200여건으로 한때 감소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살인, 강도, 절도, 폭력, 성폭력 등 5대 범죄만을 대상으로 한 범죄 발생 건수는 2001년 1909건에서 2002년 1215건으로 30% 정도 감소했다. 그러나 2003년 1252건, 2004년 1563건으로 그 수가 점차 늘어났고, 올 6월30일 현재도 지난해 같은 기간의 수치를 넘어선 784건의 범죄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지하철경찰대 인원 확대를 통해 범죄발생 증가를 억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심의원은 "8개 노선 262개 역사(국철구간 제외)에 배치된 지하철경찰대에 불과 155명의 경찰관이 근무한다"며 "소속 인원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관리인원 13명을 제외한 실제 순찰 및 수사팀은 142명 정도로, 2인 1조를 편성할 경우 조별로 3.6개 역을 담당하게 돼 범죄예방 활동에 다소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심의원은 "2002년의 경우 월드컵 개최로 인해 경찰이 강력한 단속을 펼쳐 범죄발생이 줄었다"며 "지속적 단속과 예방활동이 있으면 얼마든지 증가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혀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