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2014년부터 ‘중고차 거래 실명제’ 도입
안행부, 2014년부터 ‘중고차 거래 실명제’ 도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행정부가 중고자동차 거래도 매도자의 인감증명서에 매수자의 실명을 기재하도록 하는 ‘중고차 거래 실명제’를 도입한다고 7일 밝혔다.

‘중고차 거래 실명제’는 안행부가 국토교통부, 국민권익위원회와 함께 중고차 미등록 불법 전매에 따른 세금탈루를 막기 위해 도입한다.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권익위가 중고차 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무등록 중고차 매매업자들은 매도자로부터 중고차를 인수한 후 본인들의 명의로 이전하지 않고 제3자에게 매매하는 미등록 전매행위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매매업자가 내야하는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인지세, 증지세 등의 세금을 탈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등록 매매업자들은 신차 영업사원이나 중고차 딜러, 카센터 업주 등으로부터 중고차를 인수 한 후 명의를 이전하지 않아 불법명의차량인 속칭 대포차를 양산하는 등의 문제가 드러나, 중고차 무등록매매업을 차단하기 위해 중고차 거래를 할 때에도 부동산거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매도자의 인감증명서에 매수자의 실명기재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안행부는 이 같은 내용의 인감증명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8일부터 입법예고에 들어간다.

아울러 중고차 거래시 매도하려는 사람은 인감증명서를 발급받기 전에 매수자의 실명(법인명), 주민번호(법인등록번호), 주소(법인소재지)를 알아야 인감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류순현 지방행정정책관은 "3개 부처가 협업을 통해 마련한 이번 제도개선안은 중고차 불법매매에 따른 세금탈루를 막고 대포차 발생도 차단할 수 있어 국민 안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기대를 드러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