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무섬마을, 중요민속문화재 278호 된다
영주 무섬마을, 중요민속문화재 278호 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성천과 주변 산이 태극 모양 이룬 '물도리' 마을… 절경
▲ 영주 무섬마을 / 사진 :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영주 무섬마을’을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제278호로 지정하기로 했다.

영주 무섬마을은 조선 중기 17세기 중반 입향시조인 박수와 김대가 들어와 자리를 잡은 이래 반남박씨와 선성김씨의 집성촌으로서 유서 깊은 전통마을이다. 또 일제 강점기에 뜻있는 주민들에 의해 건립된 아도서숙은 항일운동의 지역 구심체 역할을 한 곳으로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수도리(水島里)의 우리말 이름으로 삼면이 내성천과 접해있는 전형적인 물도리 마을이다. 마을 앞을 돌아나가는 내성천과 주변 산이 태극 모양으로 서로 안고 휘감아 돌아 산수의 경치가 절경을 이룬다.

마을 내에는 해우당고택(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2호)과 만죽재고택(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3호) 등을 비롯하여 규모가 크고 격식을 갖춘 口자형 가옥, 까치구멍집, 겹집, 남부지방 민가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와 양식을 갖춘 가옥이 있어, 전통주거민속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이번에 영주 무섬마을이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됨에 따라, 현재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된 민속마을은 안동 하회마을(제122호), 제주 성읍민속마을(제188호), 경주 양동마을(제189호), 고성 왕곡마을(제235호), 아산 외암마을(제236호), 성주 한개마을(제255호), 영주 무섬마을(제278호)등 총 7개로 늘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민속마을을 지속해서 발굴하여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하고, 주민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활성화 방안과 지원정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