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국감]성장률, 분배 등은 경제발전단계와 함께 고려돼야
[2005 국감]성장률, 분배 등은 경제발전단계와 함께 고려돼야
  • 박승만
  • 승인 2005.10.07 2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정경제부는 참여정부의 경제성적이 역대 정권 중에서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 “경제성장률과 분배 등은 경제발전단계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발전초기단계와 현재의 성장률을 비교하는 데 있어 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윤건영 의원은 4일 재정경제부에 대한 국회 재경위 국정감사에서 참여정부 들어 경제범죄 발생 건수와 자살자 수, 신용불량자 등이 크게 늘어났고 성장과 분배 관련 지표도 악화됐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재경부는 “경제발전과 함께 성장률이 추세적으로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선진국의 경우에도 장기적으로 성장률이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고 설명했다. 재경부는 “참여정부 들어 성장률이 잠재수준을 하회하고 있는 것은 2001~2001년간의 카드 등 가계신용 거품에 따른 과잉소비 조정에 기인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년의 경우 국제유가와 환율 등 대외여건이 크게 악화되면서 경기회복이 지연된 측면이 있다”며 “그러나 최근 가계부채 조정이 상당히 진전되면서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점자 잠재수준의 정상적인 성장궤도로 복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분배문제와 관련해서는 “5분위 배율이 상승한 것은 사실이나 이 지표만으로 소득불평등 악화여부를 단정하기는 어려우며 전반적인 상황은 지니(Gini) 계수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니계수의 경우 소득분배는 외환위기 이후 1999년까지 악화되다가 2001년 이후 점차 개선되는 추세에 있는 것이다. 재경부는 특히, “소득 분배구조는 경제발전단계, 경기상황, 실업률, 교육수준의 차이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며 “이러한 구조적 측면에 대한 고려 없이 일부 분배관련 수치만을 단순비교하는 데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고용 증가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사회안전망 혹충을위한 정책노력도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분배상황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재경부는 이와 함께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경우 2001~2002년의 카드 등 가계신용 거품에 다른 과잉소비로 급격히 증가한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신불자 종합대책, 생계형 금융채무불이행자 대책을 마련, 추진함으로써 지난해 4월 이후 금융채무 불이행자수가 감소세로 전환하는 등 금융채무 불이행자 문제가 진정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