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 인구비율 사상 첫 감소
도시지역 인구비율 사상 첫 감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면적 1년 사이 여의도 14배 증가

 국토교통부는 '2013년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해 관한 연차보고서'에서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토는 전년보다 여의도 면적의 14배 만큼 늘어났으며,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조사 이래 처음으로 감소한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30일 국회에 제출했다.

국토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토 면적은 1년 전보다 여의도 면적의 14배인 40㎢가 늘어나 10만188㎢인 것으로 조사됐다. 증가 요인은 충남 이원지구 간척지 신규등록(11.1㎢), 인천국제공항 확장사업(8.1㎢) 등이다. 공유수면 매립, 미등록 토지등록도 일부 기여했다.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1970년 50.10%에 불과했으나 2011년도 91.12% 까지 꾸준히 늘었다가 지난해 91.04%로 처음으로 0.8%p 감소했다.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1960년(39.2%)부터 2000년(88.4%)까지 49.2%p 급증했으나 2005년(90.1%)이후 7년간 1%p 증가에 그치는 등 증가세가 둔화됐다.

국토계획법상 용도지역(해수면 일부 포함)은 총 10만6176.4㎢로 이중 농림지역이 46.6%인 4만9488.2㎢로 가장 많았다. 이어 관리지역 2만7022.1㎢(25.4%), 도시지역 1만7587.1㎢(16.6%), 자연환경보전지역 1만2079㎢(11.4%) 등이 뒤를 이었다.

지목이 등록된 면적은 10만188㎢다. 농경지가 2만667㎢(20.6%), 임야가 6만4216㎢(64.1%), 대지·공장용지·공공용지 등 도시적 용지가 7039㎢(7.0%), 기타(하천 등)가 8266㎢(8.3%)을 차지했다. 도시적 용지는 매년 증가 추세다. 전년 6896㎢ 보다 143㎢(2.1%) 늘어났다.

개발제한구역은 당초 지정된 5397㎢ 중 2012년까지 집단취락지역, 국민임대주택건설 등으로 1523㎢가 해제됐다. 2012년말 현재 개발제한구역 총 면적은 3874㎢이다.

주택건설은 2008년 국제 금융위기로 일시적 감소 후(37만1000가구), 2009~2010년은 보금자리 주택 건설 등으로 소폭 증가(2009년 38만2000가구, 2010년 38만7000가구)했고 2011년 이후는 중소형 주택 건설로 크게 증가(2011년 55만가구, 2012년 58만7000가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