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기의 ‘항구적 평화’, 결국 적화통일?
이석기의 ‘항구적 평화’, 결국 적화통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도연맹 사건 재연 우려, 그에 걸맞은 준비 필요 강조했다”

▲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이 내란음모 혐의와 관련해 인정할 수 없다는 기자회견을 했다. 하지만, 기자회견 내용이 모호해 의혹만 더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내란음모 혐의를 받고 있는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이 30일, 기자회견을 갖고 문제가 된 지난 5월 12일 당시 진보당 경기도당 강연 사실에 대해 인정했다.

이 의원은 총기 준비 지시 등에 대해서는 부인했지만, 당시 강연 내용을 설명하면서는 거듭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였다. 의혹을 풀기위한 기자회견이 오히려 의혹만 더 부풀려 놓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석기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사무실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당시 한반도에 전쟁위기가 퍼져 있다고 판단했다”며 “전쟁이 벌어진다면 민족의 공멸을 맞기 전에 하루라도 빨리 평화를 실현하자는 뜻이었다”고 설명했다.

‘평화’를 내세워 속뜻을 덮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쟁이 났을 때 하루라도 빨리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전쟁을 빨리 끝내는 일밖에 없다. 이석기 의원이 받고 있는 혐의대로 ‘전쟁을 빨리 끝내기 위해 한쪽으로(북한) 힘을 몰아주자’는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의원은 이어, “정세인식이 다르다고 해서 비판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것이 내란음모죄라는 어마어마한 혐의에 대해서는 납득할 수 없다”며 “그래서 날조와 모략이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시 강연 내용과 관련해서는 “방에 모인 사람들은 전쟁에서 가장 먼저 희생자가 될지도 모를 진보당 당원이었다. 이승만 정권이 저지른 보도연맹 사건을 보라. 무려 20만명의 무고한 사람들이 학살당하지 않았냐”며 “그 정도의 경각심이 필요하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만약 한반도에서 전쟁이 예고돼 있다면 우리는 그에 걸맞은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며 “그래서 저는 양측의 군사행동이 본격화되면 앉아서 구경만 할 것이냐고 물어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살당할 수도 있으니, 앉아서 구경만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무장을 준비해 경찰서 등을 먼저 습격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 의원은 이 같이 말하면서 “60년 간의 정전체제를 끝내는데 좀 더 적극적이고 주동적인 항구적 평화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로 바꿔내자고 한 것”이라고 덧붙여 말했다. 앞서는 생존을 위한 무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어서는 항구적 평화 등을 운운하고 있는 것이다.

즉, 항구적 평화를 위한 북한의 적화 통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의원은 특히, 5.12녹취록과 관련해서는 “일련의 것을 철저하게 부정한다”며 전쟁에 대비해 총기를 준비하라는 지시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제가 총기 운운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의원은 “한반도의 대 전환기라고 봤기에 할 수 있는 것은 모든 것을 다하자는 차원이었다”고 거듭 모호하게 말했다. “총기 운운한 적이 없다”고 말하면서도 “할 수 있는 모든 것 다하자는 차원이었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발언이다. 사실상 말장난 수준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 다하자는 것이었는데 총기라는 말은 하지 않았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폭탄은 얘기했는데 총기는 얘기하지 않았다’ 수준의 변명인 셈이다.

전쟁 준비하자는 발언에 대해서도 “말한 적 없다”며 “평화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적극적으로 준비를 해야 한다는 뜻이었다”고 갈팡질팡했다. 현재까지의 혐의대로라면 ‘적극적으로 준비해야 할 그 무엇’은 북한의 적화통일을 돕기 위한 내란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이 의원은 “사법적 절차가 진행된다면 진실을 증명하기 위해 당당하게 임하겠다”며 “결코 피하지 않겠다. 그러나 내란음모 등 국정원의 날조와 모략에 대해서는 한 치의 타협 없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