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
‘대구 폭언파문’과 관련, 당시 술자리에 참석한 국회 법사위원회 소속 열린우리당 의원들에 대해 같은 당의 국회윤리특위 위원들이 징계를 추진하자 당 지도부가 제동을 걸어 백지화시키면서 또다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는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열린우리당 오영식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6일 “국회 윤리특위의 여당 간사인 이상민 의원 등이 소속 법사위원들을 윤리특위에 제소한 것을 철회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오 부대표는 “이 의원 등이 제소한 것은 당 지도부 판단이 아니라 전적으로 개인의 판단에 따라 이뤄진 것”이라면서 “우리당 의원들까지 제소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처사”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당 법사위원들은 술자리의 주역이거나 문제의 발언을 한 당사자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이상민 의원 등 열린우리당의 윤리특위 위원 5명은 전날 최용규·정성호 의원 등 소속 의원 4명을 포함해 술자리에 참석한 여야 의원 7명 전원을 윤리위에 제소했다.
정세균 원내대표는 제소 보고를 받고 “도대체 정신이 있는 거냐.”고 진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원내 지도부의 철회 결정에 대해 이상민 의원은 당초 입장을 고수하며 버티는 등 새로운 당내 분란으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의원을 제외한 이기우·한병도·한광원·정봉주 의원 등 4명은 이날 제소를 철회했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는 7일 성명을 통해 정 대표의 이 같은 처사에 대해 "국정감사 기간 동안 피감기관과의 부적절한 술자리를 가진 국회의원들의 행태를 철저히 조사해 그에 합당한 징계를 해야 한다는 국민의 목소리를 완전히 묵살한 것"이라고 규탄했다.
참여연대는 또 "이는 국회 다수당의 원내대표 지위를 이용, 국회윤리특위의 윤리심사 권한까지 좌지우지하겠다는 발상"이라며 "당리당략을 앞세워 윤리특위라는 국회 공식 권위를 훼손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국회의원이 국감기간에 피감기관 관계자와 부적절한 술자리를 갖고 향응을 나눈 것 자체만으로 충분히 비판받을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참여연대는 국감기관에 피감기관으로부터 접대를 받는 문화가 구태정치의 표본이라며 정치권 스스로 이를 거부하겠다고 약속한 게 불과 1년 전 일임을 상기했다.
이어 술자리에서의 욕설과 추태에 대해서도 반드시 진상을 규명하고, 그 책임을 엄중하게 물어야 한다고 강조됐다. 국회의원의 술자리 추태나 폭행사건이 생길 때마다 대충 무마하고 넘어왔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반복된다는 게 참여연대의 판단이다. 따라서 "주성영 의원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진상을 규명하고 끝까지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참여연대는 주문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