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굴 껍데기' 이용 간척지 제염기술 개발
농촌진흥청, '굴 껍데기' 이용 간척지 제염기술 개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진흥청은 바닷가에 버려진 굴 껍데기를 재활용해 간척지 토양 염분을 낮추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굴 수확 후 버려지는 굴 껍데기를 분쇄한 후 간척지 땅에 투입하는 기술이다.

먼저 해안지 굴 수확 후 버려지는 굴 껍데기를 모아 파쇄기를 이용해 0.5∼1cm 크기로 분쇄한 후 10cm 정도 깊이에 10a당 500kg 정도의 양을 시용한다.

새만금 간척지에 파쇄목, 쇄석, 굴 껍데기 등의 제염효과를 조사한 결과, 굴 껍데기의 석회물질(CaO)에 의해 토양이 부드러워지고 물의 흐름을 좋게 해 염분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무것도 주지 않은 무처리구보다 염분이 약 30% 더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으며 토양 표면에 있는 물이 토양으로 스며드는 침투 속도가 약 5배 정도 빨라지고, 토양경도가 40% 정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척지 토양은 나트륨함량이 높고 토양비옥도가 매우 낮아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염분을 낮춘 다음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해마다 25만 톤 이상의 굴 껍데기가 발생하지만 10%만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불법매립이나 야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연안 환경보호에도 이바지할 수 있어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