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서울시장 선거를 둘러싼 여야의 물밑 전쟁
지방선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서울시장 자리를 두고 여야간 물밑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여당의 ‘박원순 때리기’도 이러한 맥락으로 해석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을 겨냥한 새누리당의 공세는 날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으며 이에 대항하는 민주당의 ‘박원순 지키기’도 도마 위로 오르고 있다. 박 시장의 내년 재선 참여가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여야의 서울시장직을 둘러싼 이전투구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내년선거 겨냥, ‘박원순 때리기’ vs ‘박원순 지키기’
박 맞설 與후보, 나경원·원희룡·오세훈·김황식 거론
내년 서울시장 선거 최대 변수, 안철수 의원측 창당
민주당 소속인 박원순 서울시장이 새누리당의 집중포화를 받고 있다. 새누리당은 8월초 서울시청을 찾아 ‘안전불감증’ 규탄 기자회견을 연 데 이어, 20일에는 무상보육을 위한 추경 편성을 거부한 박 시장의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급기야 서울시의 무상보육 예산 정부지원 촉구 광고를 문제 삼아 박 시장을 선거법 위반 혐의로 선관위에 고발하기도 했다.
이 같은 새누리당의 공세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재선 도전을 기정사실화한 박 시장을 견제하며 ‘박원순 때리기’를 본격화한 것으로 보인다.
‘박원순 흠집내기’ 점입가경
새누리당의 무상보육 관련 광고가 선거법 위반이라며 중앙선관위에 고발조치한 사건에 대해 선관위는 일단 박 시장의 손을 들어줬다.
선관위는 지난 2일 박 시장의 선거법 위반 여부와 관련해 “서울시의 무상보육 광고는 영유아 무상보육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과 국회의 관련법 개정을 촉구하는 의견을 표명한 것”이라며 “구체성 있는 사업계획, 추진실적, 활동상황에 관한 홍보물에는 해당되지 않아 선거법 위반이 아니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무상보육 광고가 반복적일 경우 선거법 위반소지가 있다며 ‘주의’ 조치했다.
선관위의 이러한 결정을 두고 여야는 ‘아전인수(我田引水)’식 해석을 내놓았다. 새누리당은 ‘선거법 위반이 아니다’라는 결론보다 ‘주의’ 부분을 부각했다. 모든 무상보육 광고의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한 것이다.
새누리당 민현주 대변인은 “박 시장이 정치적인 목적을 갖고 무상보육에 대한 한 쪽의 일방적인 주장만을 서울시민과 국민에게 광고한 것이 단순한 정보제공이라는 선관위의 판단은 선뜻 수긍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민 대변인은 이어 “서울시는 시민에게 정부 지원과 국회 법 개정을 촉구하는 내용을 계속, 반복적으로 광고할 경우 내년 6월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관위의 판단을 명심하고 버스뿐만 아니라 지하철, 현수막 광고도 당장 중단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밝혔다.

홍문종 사무총장도 “서울시가 추경 편성만 하면 재정지원을 이어나갈 수 있다”면서 “서울시가 중앙정부의 책임으로 여론을 호도하고 있고 이는 내년 서울시장을 염두에 둔 사전 선거운동”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시 무상급식 예산의 정부 지원 확대를 촉구하는 광고에 대한 여권의 과민반응은 박 시장이 향후 정치 지형에서 무시할 수 없는 인물이라는 점을 방증한다. 단순히 무상급식 문제가 아니라 박 시장의 정치 행보에 대한 여권의 견제 심리를 보여줬다.
반면 민주당은 새누리당의 이 같은 비판에 대해 선관위의 ‘결론’을 강조했다. 민주당은 무상보육이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라는 점을 부각하며 정부의 보육비 지원 확대를 주장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을 겨냥해 “국민이 어떻게 되든 내년 지방선거만을 의식해 눈엣가시인 민주당 서울시장을 야비하게 견제하려는 속셈이 드러난 셈”이라고 비판했다.
여야가 박 시장을 둘러싸고 벌이는 공방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반영한다. 현재 최대 관심사는 누가 내년 서울시장 후보로 나서느냐와 박원순 시장의 재선 성공여부다.

내년 여야 서울시장 후보는
서울시장은 인구 1000만을 대표하며 2013년 기준 대한민국 예산324조원 중 23조4,835억원의 예산을 집행하는 ‘소통령’ 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서울 시장의 중요성으로 인해 내년 6월 4일 치러질 지방선거에서 최대 관심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은 지난 2일 내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인선에 대한 고심을 드러냈다. 홍 사무총장은 “서울과 경기 모두 만만치 않다. 서울이나 경기 지역에 ‘저런 훌륭한 사람을 모셔왔구나’ 하는 아이콘이 있어야 하는데...”라며 후보 선정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한 바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벌써부터 자천타천으로 거론되는 인물들의 하마평이 무성하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서울시장 예비후보는 나경원, 원희룡, 홍정욱 전 의원, 오세훈 전 시장, 김황식 전 총리다.
더불어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안대희 전 당 정치쇄신특별위원장, 이혜훈 최고위원,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김영란 전 대법관 등도 거론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박원순을 제외하고 부각되는 인물은 눈에 뛰지 않는다. 박영선 의원, 이인영 의원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으나 박 시장의 경쟁 대상이 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내년 서울시장의 최대 변수는 독자세력화 선언한 안철수 의원 측의 창당이라 할 수 있다.
안 의원 측에서 독자정치세력화를 선언한 이상 내년 지방선거는 안철수 진영에서도 중요하다. 세력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서는 서울시장 선거에 후보를 내는 문제는 어차피 건너야 할 산이라 할 수 있다.
2011년 보궐선거 당시 5%지지율에 불과했던 박원순 후보의 지지율이 50%이상 상회할 수 있었던 것은 안철수 후보의 단일후보 지지 의사표명이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이렇게 볼 때 안철수 측은 다시금 서울지역의 지지세를 모아낼 수 있다는 전망을 할 수 있다.
2011년 재보궐 선거 이후 무소속으로 출발한 박원순 후보는 민주당에 입당했고 안철수 후보는 새로운 야당을 창당하려고 하고 있다. 이렇게 된 이상 박원순 시장과 안철수 의원은 내년 지방 선거에서 대립각을 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안철수 측이 창당을 하고 서울 시장 후보를 낸다면 서울시장 선거는 3자구도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로선 안철수 의원측에서 어떤 인물을 등판시킬지 알 수 없으나 안 의원이나 그 외 새로운 인물이 나올 가능성은 열려 있다.
다만 정치전문가들은 “선거는 여러 변수가 있어 예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한다.
때문에 안철수 측이 서울시장을 두고 어떤 판단을 내릴지 속단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박원순 재선 가능성은?
정치전문가들은 불확실성을 전제하면서도 박 시장의 재선 성공 가능성에 대해 예측했다.
그들의 말을 종합하면 △박 시장의 현직 프리미엄 △마땅한 후보군이 부각되지 않고 있다는 점 △재임기간이 짧아 한 번 더 기회를 줘야한다는 기류 △서울지역은 야당 지지가 높았던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실시한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원순 지지세가 뚜렷하다는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무소속으로 시장에 당선돼서 민주당에 입당한 박 시장의 행보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박 시장은 민주당 입당 후에도 한동안 당과 거리를 뒀다. 박 시장은 정치적 행보보다는 행정가적 이미지로 서울시장에 대한 평가를 잘 받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박시장의 행보는 민주당과의 스킨쉽이 활발해졌다. 서울시당과 당·정 협의를 하는 등 당과의 소통에 신경을 쓰는 모습이다.
내년 지방선거를 둘러싸고 여야의 치열한 경쟁이 명약관화한 상황에서 박 시장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