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물가채 유통 활성화와 시장금리 형성을 위해 당분간 교환입찰(발행한지 오래된 물가채를 사들이고 새로운 물가채를 공급하는 방식) 등을 통해 물가채의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했다.
물가채는 원금과 이자 지급액을 소비자 물가에 연동시켜 실질가치를 보장함으로써 물가상승에 따른 위험을 상쇄시킨 국고채다. 투자자에게는 실질구매력을 보장하고 인플레이션의 헷지(손실을 막는 대비책) 수단으로도 이용된다.
기재부는 "낮은 소비자물가로 인해 물가채 시장이 침체돼 있다"는 최근 일부 언론보도와 관련해 11일 이같이 밝혔다.
국내 물가연동국고채 시장은 지난 2007년 3월 도입후 수요부진으로 2008년 8월부터 발행을 중단했다가 2010년 6월이후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발행을 재개했다.
올 8월말 현재 발행잔액은 8조1000억원으로 전체 국고채 발행잔액 398조원의 2%선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말 이후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2% 밑으로 떨어지고미국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까지 대두돼 발행 및 거래가 다소 부진한 상태다.
정부는 이에 따라 10년 만기물의 선택적 분리과세가 가능토록 하고 디플레이션 발생시 원금 손실 위험을 없애 장기채 투지기관과 개인투자자의 안정적 투자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개인투자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물가채 입찰에 개인입찰 참여를 허용하고 최소 응찰 수량기준은 100만원에서 10만원으로 완화한 바 있다.
아울러 물가채 원금 증액분에 대한 비과세도 당분간 유지할 방침이다.
기재부는 "올해 물가채 발행이 전반적으로 저조했으나 6월부터 신규물을 발행하고 3분기 중 6000억원 규모의 교환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할 계획"이라며 "경기 회복세가 가시화되면 장기보유 목적의 기관투자자 수요 등으로 시장이 다시 활성화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