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장악 음모”…청와대 배후설 제기

민주당 지도부는 오늘 예정된 여야 대표 간 3자회담에서 채동욱 검찰총장 사태와 관련한 문제를 다룰 것을 요구했다.
16일 서울시청 앞 국민운동본부에서 김한길 대표 대신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 신경민 최고위원은 청와대 배후설에 대해 “왜 청와대는 남재준 원장의 NLL 문건공개도 몰랐다 하고 이번에도 모른다 하나. 청와대는 왜 중요한 결정마다 항상 모르나. 매번 거짓말 하거나 매번 무능한 청와대라는 걸 과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최고위원은 청와대의 사표수리 불가 방침에 대해서도 “사람을 죽도록 두들겨 패고 등에 비수 박은 상태에서 ‘이제 네가 왜 맞게 됐는지 알아보자’ 하는 것과 같다”며 “평검사들과 중간간부들이 반발하자 화들짝 놀란 모습”이라고 꼬집었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이날 3자회담에 대해 "기대보단 우려가 큰 게 현실이다. 회담 의제도, 형식도, 가장 중요한 진정성조차 의심되는 상황에서 불통의 실존만 확인하게 되지 않을까 국민의 염려가 크다"고 말했다.
전 원내대표는 채동욱 사태와 관련, “상식도 규정도 벗어난 사상 초유의 검찰총장 감찰을 통해 청와대가 얻고자 하는 게 무엇인지 국민은 다 알고 있다”라며 “성난 민심 때문에 사표수리는 안하고 진실규명이 먼저라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청와대의 발표가 오히려 국민의 의심을 키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양승조 최고위원도 "국정원이 말 잘 듣는 권력의 하수인으로, 권력장악의 도구로 전락하고 검찰마저 꼭두각시로 만들려는 박근혜정부의 검찰장악이 자행되고 있다"며 "박근혜정부는 한 손에는 국정원을, 다른 한 손에는 검찰을 손에 쥐고 21세기 대한민국을 과거 유신시대로 되돌리려고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원식 최고위원 역시 "국정원 대선개입을 다루는 상황에서 그 문제를 밝히는 재판이 진행되는 예민한 시기에, 실체적 진실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 검찰수장이란 예민한 사람에 대해, 검찰총장 감찰이라는 예민한 방식의 결정에 있어 청와대의 개입이 없었다 그게 상식인가"라며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답변이 기억난다"라며 청와대 배후설을 제기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