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협소, 상습 불법주정차, 골목길, 장애물 적치 등이 원인

화재나 긴급상황 발생 시에도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는 곳이 전국적으로 1020곳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16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도로와 골목길 등 전국 1020곳 394㎞에 이르는 구간의 소방차 접근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진입불가 구간의 53%가 주거지역으로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형 인명 또는 재산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장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시가 331곳으로 전국 지자체 중 소방차 진입불가 구간이 가장 많았으며 경북(230곳), 인천(146곳), 경남(131곳)이 그 뒤를 이었다.
소방차 진입불가 사유로는 '도로협소'가 전체 59%(606곳)를 차지했다. 상습 불법주정차(202곳), 골목길(111곳), 장애물 적치(46곳) 등도 주요 원인이다.
강 의원은 "소방방재청이 지자체와 협조해 적극적으로 단속하고 해당 구간에 소방 용수시설과 소화기구 등을 충분히 설치해야한다"며 "장기적으로는 도로정비사업을 실시해 진입 공간을 최대한 확보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