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주를 돌보는 조부모를 선정해 한 달에 최대 24만원을 지급하는 '손주돌봄사업'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반응이 뜨겁다.
지난 2011년부터 서울 서초구가 '손주돌봄사업'을 시행해오고 있는 가운데 강남구도 이달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강남구는 현재 1기 50가구 모집을 완료하고 다음 달까지 100가구를 더 모집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서초구는 이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3억5000만원의 추경예산을 편성한 상황이다.
강남구 관계자는 "그동안 서초구에서 하는 손주돌봄사업을 부러워하는 구민이 많았다"며 "이들의 요구를 적극 수용해 이 사업을 도입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이 사업에 대한 인기가 매우 높다"며 "내년에는 더 많은 예산을 편성해 지급 대상을 30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손주돌봄사업이 지역 주민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는 있지만 이 사업에 대한 반대 여론도 적지 않다. 올해부터 무상보육사업이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전면 확대됐기 때문이다. 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0~5세 영·유아에게도 양육수당이 지급되는 만큼 예산 낭비라는 것이다.
서초구가 이 사업을 도입한 취지가 당시 저소득 가구 중심으로 운영되던 아이돌보미사업에 대한 지역 주민의 반발을 달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도 ‘손주돌봄사업 폐지 여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에 대해 강남구 관계자는 "양육수당은 부모에게 주는 것이나 손주돌봄사업은 조부모에게 주는 것"이라며 "실제 조사해보면 같이 사는 경우가 거의 없어 중복지급이라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서초구 관계자는 "손주돌봄사업에 신청한 조부모를 대상으로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양성교육까지 진행한다. 대상자 선정부터 지원금 지급까지 예산이 낭비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