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내년도 통일부 예산안을 올해보다 209억원 늘린 1조3463억원으로 편성했다고 21일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21일 평화통일 기반 구축 등 내년도 통일부 예산으로 1조3463억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1조3254억원보다 209억원이 증가한 것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남북협력기금 사업은 기존 남북문제 등으로 매년 1000억~2000억원 수준에서 집행돼 내년 감액 예정이었으나 최근 변화된 남북 상황을 고려해 예년수준인 1조100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통일부 세출예산안을 보면 우선 개성공단의 정상화 지원금을 올해 902억원보다 224억원 늘어난 1126억원으로 확대했다. 지난 16일부터 재가동에 들어간 개성공단이 조기에 정상화될 수 있도록 기반시설 조성과 운영자금 융자지원 등에 쓰일 예정이다.
쌀, 비료 지원 등 인도적 지원 예산으로 6802억원이 편성된다.
정부는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지속한다는 방침에 따라 쌀 40만t, 비료 30만t 수준의 지원규모를 유지하고, 민간단체 및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평화통일 기반조성 예산으로는 564억원이 편성된다. 이는 올해 134억원에 비해 4배 이상이 증가된 것이다.
기재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8.15 경축사를 통해 북측에 제의한 'DMZ 세계 평화공원' 조성 예산 402억원을 신규로 반영하고 내년 8월 경기도 연천에 준공되는 '한반도 통일미래센터' 지원에 162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학교통일교육 지원 강화(42억원), 통일 교육현장 보수(54억원), 통일교재 개발(19억원) 등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통일교육에 관련 예산은 144억원에서 166억원으로 22억원 증액 편성됐다.
하지만 이날 북한이 오는 25일 열릴 예정이던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일방 연기해 남북 관계가 다시 경색될 경우 예산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