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와 자동 완성·연관 검색어가 ‘조작’ 혐의를 벗었다.
23일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는네이버의 실시간급상승검색어와 자동완성·연관검색어에 대한 2차 외부 검증 보고서에서 정치적 외압 등에 의한 의도적 조작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검증위원회는 "실시간급상승 검색어 등 검색어 제어 처리에 있어 정치적 외압 등 외부에 의한 검색어의 의도적 조작의 흔적이 있었는지를 중점적으로 검토했다"며 "정치적 외압 등에 의한 의도적 조작흔적은 발견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검증위는 7개 검색어 제외사유별로 △개인정보 △명예훼손 △성인·음란성 △불법·범죄·혐오성 △서비스 품질저해 △법령 및 행정·사법 기관의 요청 △상업적·의도적 사용 등을 설정하고 검색어 노출 제외 절차와 제외기준이 적절히 적용되었는지를 전수 조사했다.
검증위는 제외 처리된 검색어의 대부분이 음란과 저작권 침해와 관련됐으며 이용자 신고에 의해 제외된 검색어의 대부분은 연예인등 유명인과 관련된 연관검색어의 비중이 컸다고 전했다.
또 네이버의 자체검수를 통해서 제외 처리된 검색어의 경우 정무직 공무원 등 공인에 관련된 검색어는 제외 처리되지 않는 등 KISO의 정책결정 기준을 지키고 있어 정치적 외압을 통한 검색어 조작 흔적은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검증위는 네이버가 권리침해신고 활성화를 위해 연관검색어 목록에 '신고하기' 버튼을 추가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 다만 내부 처리 과정에서 부정확한 분류, 일부 검색어에 대한 과도한 제외로 인한 문제점은 지적했다.
검증작업의 책임을 맡은 김기중 위원장은 “이번 검증작업은 제외 검색어 전수를 검토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며 “대체적으로 검색어 검수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며, 일부 문제점에 대해서는 네이버에 개선을 요구하고 지속적으로 문제점을 추적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검증위원회는 하반기에 네이버가 제외한 검색어의 검증 이외에도 검색어 제외 처리를 담당하는 부서에 직접 방문해 현장 실사를 실시해 공공성을 더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검증위원회는 보고서를 통해 명예훼손이 우려되는 일부 검색어를 익명처리 한 후 그 전문을 KISO 홈페이지(www.kiso.or.kr)을 통해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