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2일 국가기록원에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최종 결론을 내린데 대해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미묘한 시점에 검찰의 중간발표가 있었다”고 말했다.
김한길 대표는 3일 낮, 대구지역을 찾아 주요인사들과 가진 현장 간담회에서 “대통령의 복지공약 파기 선언이 있었고, 검찰총장과 보건복지부 장관의 비정상적인 사퇴가 있었다. 그에 대한 국회에서의 긴급현안질의가 있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참여정부 관계자들이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소환조사도 하지 않은 채 서둘러 검찰이 정상회담 대화록 수사결과를 발표해 추측과 해석이 정쟁의 소지가 되고 있다”고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 시점에 거듭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정상회담대화록 문제는 자칫 국론분열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라면서 “검찰은 명백하게 규명된 사실관계만을 최종적으로 밝혀서 정쟁의 여지를 최소화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정황에 따른 소모적인 억측과 억지 주장은 국익에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을 것”이라며 “예컨대 여권이 사초실종이라고 공격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김 대표는 덧붙여 “여당이 사전에 입수해 지난 대선과정에서 유세장에서 낭독했던 대화록을 이제 와서 실종됐다고 말한다면 도대체 그 대화록은 무엇이었냐”면서 “검찰은 법과 원칙에 따라서 신속하고 엄정하게 수사해 하루빨리 이 사안을 매듭지어야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정상회담회의록에 박근혜 당시 대통령선거 후보 캠프에 대한 사전유출과 대선유세에서의 활용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로 책임을 물어야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