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200여개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밀양 송전탑 서울대책회의'가 결성됐다.
정현백 참여연대 공동대표, 함세웅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고문, 박석운 한국진보연대 공동대표 등 시민사회단체 대표 200여명과 13개 단체는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밀양 주민들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송전탑 건설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해왔다.
이들은 "밀양 송전탑 공사가 재개된 지 겨우 1주일이 지났으나 벌써 30여명이 넘는 할머니 등이 병원에 실려 갔고 11명의 연행자가 발생했다. 경찰과 공무원은 여전히 어르신들을 고립시키고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정부와 한국전력은 할머니들의 목숨을 건 싸움에 가슴 졸이며 밀양으로 향하는 많은 시민들의 선한 발걸음과 종교인의 기도를 외부세력으로 낙인찍고 있다. 주민들이 왜 목숨 걸고 싸우는지, 왜 이들이 맨몸으로 경찰과 마주보고 서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고 비판했다.
또 "공사 현장에 움막을 치고 거기에 몸을 묶는 어르신들의 고통이 얼마나 컸을지 우리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다. 대체 주민들의 가슴을 밟고 건설되는 송전탑의 정당성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지난 8년 간 밀양 주민들이 송전탑 건설에 관한 사회적 검증기구 구성을 요구했으나 정부와 한전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고 전하며 정부의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이들은 "주민들이 원하는 것은 보상이 아니라 밀양 송전탑 건설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인데, 조환익 한전 사장은 마을 총회도 거치지 않은 대표성 없는 마을 주민과 보상 협의를 했다며 주민들을 기만하고 있다"고 말하며 "정확한 검증을 통해 신고리 3, 4호기를 건설한다면 적어도 1년 이상 준공 시기가 늦춰 진다. 그렇다면 밀양 주민들이 요구한 사회적 검증기구 구성을 통한 사회적 협의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밀양송전탑반대대책위 주민대책위원장 김정회씨는 "1주일 전 단식 농성을 하러 서울에 올라왔는데 일부 사람들이 외부세력의 도움을 받지 말라고 했는데, 과연 누가 외부세력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현재 밀양에 투입된 경찰 3000명의 하루 숙박비가 8000만원이라고 한다"며 "주민들이 요구하는 지중화가 어려우면 이러한 돈이라도 모아 1m라도 지중화 하는 성의를 보인다면 할머니들도 진짜 전기가 모자라 밀양에 송전탑이 세워져야 하는 것이구나 하고 수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정부와 한전에 △밀양에 투입된 공권력 철수 △송전탑 건설 중단 △사회적 공론 기구의 구성 등을 요구했다.
한편 이들은 이날 밀양송전탑 서울대책회의를 구성하고 △탈핵희망버스 운영 △밀양 상경자 단식 농성 지원 △법률 대응단 구성 △촛불 문화제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주민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보호할 현장 방문단을 모집해 이들을 현장으로 안내하는 탈핵희망버스를 매일 출발시키고 주민들과 현장 방문 시민들을 폄훼하는 언론에 대한 고발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