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10일 토지소유 요건 미달로 자격이 상실되는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사업시행자 지정을 취소하고 도시개발구역 지정 해제를 고시했다고 전했다.
사업시행자 지정 취소는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시행자인 드림허브가 경기침체의 여파를 견디지 못하고 지난 3월 12일 채무불이행를 선언하면서 이미 예견되었던 일이었기 때문에 디폴트 이후 최대주주인 코레일은 사업해제를 결정, 철도정비창 부지 회수를 위해 9월 5일 토지대금을 최종 반환한데 이어 지난 4일 드림허브로부터 등기이전을 받는 절차를 완료한 바 있다.
이 같은 절차가 완료되어 드림허브의 토지소유 요건은 충족되지 못했고, 사업시행자 자격 역시 자동 상실되면서 결국 10일 사업시행자 지정과 도시개발구역 지정 해제가 이뤄진 것이다.
서울시는 "구역해제는 단기간 내 사업재개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부동산 거래의 숨통을 틔워 주민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자는 판단 하에 내린 결론"이라고 설명하며 이날 조치로 인해 2007년 8월 시와 철도공사 간 공동합의문에 기초해 시작됐던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은 사업계획 발표 6년 만에 백지화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사업초기에 지정한 이주대책기준일 해제도 공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노후주거지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들과 함께 지역재생을 위한 도시관리계획 가이드라인을 정립해 그동안 사업장기화와 무산 과정에서 낙후된 주거환경 개선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사업구역 해제를 기점으로 서부이촌동 주민갈등 봉합을 통한 공동체 회복 및 지역재생을 위한 공공의 역할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전했다.
2016년 말까지 국제 업무기능을 갖춘 서울의 부도심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명품수변도시로 조성하겠다던, 사업비만 31조원에 달한 단군 이래 최대 프로젝트도 흐지부지하게 끝을 맺으면서 사업을 접는 것과는 별개로 지난 6년간 장기화된 개발로 막대한 손해를 입은 주민들은 대규모 소송을 준비하고 있어 후폭풍이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