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교권, 이대로 좋은가?
무너지는 교권, 이대로 좋은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권이 침해받고 있다. 새누리당 김세연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폭행을 당한 교사는 지난 200931명에서 201045, 201159, 2012132명 등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 만에 학생에게 맞는 교사 수가 4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교권추락을 여실히 증명한다. 학생들에게 폭행을 당한 교사들의 수치심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묵과할 수 없는 사실임에 틀림없다.

교권침해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주목해야 할 것은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바닥권에 머물고 있다는 사실이다. 글로벌 교육기관 바르키GEMS재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등 주요 21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교사 위상 지수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교사에 대한 사회적 처우는 최상위권인데 반해 교사 신뢰도는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교육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일각에서는 교권의 침해와 교사의 신뢰도가 떨어진 원인이 교사체벌금지에서 찾는 사람들이 있다. 과연 체벌금지가 교권추락의 원인인지 묻고 싶다. 폭행이 잦은 집안에서 자란 아이들이 커서도 폭행을 일삼는 어른으로 자라날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체벌이 교육의 도구가 될 수 없음을 증명한다.

몰지각한 학생으로 인해 교권이 무너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에게 모든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 무너지고 있는 공교육을 제대로 살피지 못한 정부와 대학입시와 성적을 우선시 하는 학교교육 그리고 삐뚤어진 자식사랑에도 책임이 있다.

교권추락의 원인은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그 일차적 책임은 교사에게 있다. 일선 교사들은 입시위주의 교육현실 때문이라고 반발할 수 있지만 교권 확보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교사들은 교권회복과 학생들에게 신뢰받는 교사로 거듭나기 위해 학생들과의 접촉면을 넓혀야 한다. 교육당국은 교권 보호책을 강구하면서,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 간 신뢰를 회복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효재 2013-11-14 23:08:26
학생들에게 폭행을 당하는 현실에서는 교육은 존재 할 수 없습니다. 내 자식이 소중하고 내 아이가 훌륭한 나라의 동량으로 자라도록 하기위해서는 안위원님의 말씀처럼 무엇보다도 땅에떨어진 교권을 바로세우는 일이 가장 시급한 일입니다. 교권을 바로 세우는 데는 선생님들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선생님도 학부모님도 메스콤에서도 온나라의 모든사람들이 땅에떨어진 교권을 바로세울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