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주 질환이 확산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8~2012년 5년간 ‘치은염 및 치주질환’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2008년 673만명에서 2012년 843만명으로 5년 새 25.3% 늘어났다고 밝혔다.
치주질환은 잇몸과 치아 사이에 염증이 진행되어 골소실이 일어나게 되는 질병을 말한다.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나뉘게 된다. 치은염은 잇몸에만 염증이 나타나는 초기 상태를 말하며, 치주염은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염증이 확산된 상태를 일컫는다.
치주질환의 발생 원인은 ‘치석’이라 할 수 있다. 치주질환의 증상은 잇몸이 붓고, 출혈이 발생한다. 심할 경우 구치가 나고 음식을 씹지 않아도 빈번하게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석을 제거하는 스케일링 치료가 급선무다. 스케일링은 6개월에 1번씩 치료받는 것이 치아건강에 좋다.
치석과 동시에 염증까지 제거하는 ‘치주소파술’은 기존 스케일링으로는 제거가 어려웠던 잇몸 안쪽에 파고든 치석을 제거, 스케일링 만으로 단단하게 굳은 치석을 제거하기 힘든 경우 사용된다.
치주수술은 일반적인 치주 치료만으로 잇몸질환이 개선되기 어려울 때 진행된다. 잇몸을 열어 치아와 뿌리가 잘 보이도록 한 다음 잇몸 속의 치석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다시 잇몸을 닫아 봉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치주수술로도 회복이 안 되는 경우 치아를 빼야 한다.
네모치과병원 최용석 원장은 “치주질환의 원인인 치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평상시 칫솔질을 할 때 치아 바깥쪽과 안쪽 씹는 면을 잘 닦아야 한다”라며 “그 외에도 치실을 이용하여 칫솔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꼼꼼하게 잔여물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