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창의적 아이디어와 과학기술, IT를 접목하는 ‘창조형 에너지경제’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대구 엑스코(EXCO)에서 열린 ‘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WEC)’ 특별세션 연설에서 “성장과 환경이 상충하는 전통적 에너지경제 모델을 극복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에너지 산업은 창조경제 패러다임이 빛을 발할 수 있는 분야”라며 “‘창조형 에너지경제’ 모델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서 에너지 절약과 환경개선 노력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의 에너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세계는 ‘에너지 안보와 사회적 형평성, 환경영향 최소화’라는 ‘에너지 삼중고(Energy Trilemma)에 직면해있다”며 “‘깨끗하고 안전하며 모두에게 이용 가능한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대응방식에서 벗어나 과감하고 발전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기위해서는 “에너지 소비국들과 생산국 사이에 장벽을 허물고 글로벌 에너지협력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에너지 헌정조약’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창조형 에너지경제를 통해 환경영향을 줄이면서도 에너지 수요를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에너지 신기술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개발된 신기술이 창업과 벤처 비즈니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서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에너지 자원의 합리적 배분과 효율적 사용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가격체계와 규제를 조정하고, 청정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며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지원과 에너지 낭비를 조장하지 않도록 지원 방식을 합리화 해야 한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를 소개하며 “에너지 저장장치(ESS), 에너지 관리시스템(EMS) 등 ICT를 활용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이렇게 해서 절약된 전력을 전력거래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동북아지역의 에너지 협력에 적극 참여하고 개발도상국의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늘려 가면서 글로벌 에너지 협력을 위한 기여를 확대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