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는 17일 지난해 총선과 대선 당시 국군 사이버사령부 요원들이 트위터와 블로그로 정치적 성향의 글을 올렸다는 의혹에 대해 당사자들이 시인했다고 밝혔다.
국방부 측은 “트위터에서 일부 글이 삭제됐다는 주장도 있어 해당 인원에게 컴퓨터를 받아 복원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지난 총선과 대선 때 인터넷을 통해 당시 문재인 후보의 비방 등의 정치적인 글을 올린 것으로 보이는 요원은 4명으로 이들 중 1명은 현역군인이며, 3명은 군무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트위터와 블로그를 이용해 “문재인은 국군통수권자로서 대통령 자격이 안 된다” 등의 비방글을 올렸으며, 국정원 요원들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계정의 글을 다시 전송(리트윗)한 사실도 확인됐다.
또한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지난 16일 기자간담회에서 “국정원에서 일부 예산을 주지만, 국정원과는 협조관계”라고 언급하며, 이들이 국정원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온 것이 확인되면서, 두 기관의 선거 개입에 대한 연계성에 촛점이 맞춰지며 논란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야권에서는 이에 대해 군 자체 조사가 아닌 국회 차원의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당 정호준 원내대변인은 17일 국회 브리핑에서 “민주 헌정 질서를 유린하고 국기를 문란케 하는 그 어떠한 세력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새누리당을 향해 “국방부 댓글 사태에 대한 객관적인 조사와 수사 요구를 수용하고 ‘정부 바로세우기’를 위한 야당의 길에 동참하라”며 국회 차원의 조사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통합진보당 김재연 대변인도 지난 15일 “군대가 정치를 주물렀던 군사독재의 끔찍한 기억이 하나하나 되살아나고 있는 이 때 제기된 군 사이버사령부의 조직적인 대선개입은 한 점의 의혹도 남김없이 규명되어야 할 중대 사안”이라며 “국회 차원의 조사와 검찰 수사를 통해 엄정하게 다뤄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지난 14일 민주당 김광진 의원은 국회 국방위원회의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군 사이버사령부 소속 530 요원들이 지난 18대 대선 당시 여러 댓글작업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대선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나 옥도경 국군사이버사령관은 15일 국방위원회의 국군사이버사령부 국정감사에서 “사이버사령부는 그런 지시를 받은 적도, 한 적도 없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