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문위 野 “역사교과서, 긴급현안질의 해야”
교문위 野 “역사교과서, 긴급현안질의 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與 “정쟁위험…국감만 해야”
▲ ▲ 지난 2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사법개혁특위 모습.(사진은 본문과 내용이 다를 수 있음) 사진 / 유용준 기자

22일 진행된 교육부 국정감사에서 야당 의원들은 한국사교과서 8종 수정권고안을 비판하며 서남수 장관을 불러 현안질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당 교문위원들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8종 모두 수정 지시하는 유례없는 사태다. 도를 지나쳤다”며 “그간 합격된 7종 교과서까지 수정 지시를 하는 것은 물귀신 작전”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교육부 장관이 갈등과 혼란을 초래하면서까지 교학사 교과서 구하기에 나서는 이유가 궁금하다”며 “교육부 뒤에 박 대통령의 역사 쿠데타 의도가 의심된다”며 박 대통령을 향해 비난의 화살을 돌렸다.

그러면서 “교학사 교과서는 손을 대지 못할 정도로 기본이 안 된 교과서”라며 수정이 필요한 부분의 예를 들어가며 비판을 이어갔다.

이들은 “친일 독재 미화 부분, 이승만 박정희 독재 미화, 노무현 비판적 기술 등의 부분들이 수정되지 않았다”며 “야당과 역사학계를 무시한 채 새누리당이 주장한 편향적 역사관을 반영했다. 이는 새누리당 맞춤형 수정 지시”라고 질타했다.

교문위 야당 간사 도종환 민주당 의원은 “비문과 오탈자, 맞춤법 오류 등이 1000곳 정도 된다”며 “수정권고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오탈자와 비문이 그대로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야당 의원들은 국감에서 “교육부의 수정작업에 대해 보고를 받아야 한다”며 오는 23일 교문위를 소집해 서 장관을 출석시키고 긴급 현안 질의를 할 것을 제안했다.

민주당 윤관석 의원은 “교육부의 발표는 국회 무시, 역사 무시, 국민 무시 등 3대 무시 행태이자 역사 장악 선전포고”라며 “교육부장관이 최대 현안을 무책임하게 발표했으므로 시간을 내서 장관을 출석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배재정 의원도 현안질의에 찬성하며 “교육부 장관이 하는 행태를 교문위가 짚지 못하면 장관의 말도 안 되는 정책이 계속 될 것이다”고 말했다.

반면, 이에 대해 새누리당 소속 교문위원들은 “법리적으로 감사기간에 현안질의를 위한 소집이 가능한지, 법리적 해석이 선행돼야 한다”며 “별도 현안질의에 반대하며, 예정된 대로 국감을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여당 간사인 김희정 의원은 “한국사 교과서 논란을 종식하고 교과서를 수정할 시점”이라며 “현안질의로 교과서 논쟁을 하자는 것은 이미 밝혀진 교과서 7종의 오류 578건에 대한 수정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우리 상임위를 정쟁으로 몰고 갈 위험이 있다”며 “국감은 여야 합의한 날짜대로 순리대로 따라가야 한다”고 반대의사를 드러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