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 측근에 의해 시해된 10.26사건 34주년을 맞아 민주당은 “헌법불복세력에 맞서 민주주의 불침번 민생의 파수꾼 역할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하루 전인 25일 논평을 내고 10.26사건에 대해 “대통령 시해라는 현대사의 비극”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10.26은 유신독재의 종말을 고하는 사건이자 새로운 군부독재의 태동이 시작된 날”이라며 “국민을 억압하고 헌법체제를 유린한 영구집권체제는 안팎으로 많은 위기를 스스로 만들어 낸 가운데 안으로부터 붕괴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국민을 억압하고 민주주의를 말살하는 정치체제는 결코 지속될 수 없다는 교훈을 남긴 것”이라며 “지금 우리는 민주주의의 심각한 훼손을 목격하고 있다. 헌정질서를 유린하고 헌법에 불복하는 세력들이 대한민국을 흔들고 있다”고 박근혜 정권을 강하게 성토했다.
덧붙여 “민주당은 10.26 사건 34주년을 맞아 대한민국의 기본 가치인 헌법체계를 뒤흔들려 하는 세력들과 맞서 민주주의의 불침번, 민생의 파수꾼 역할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김영삼 전 대통령 차남으로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소 부소장까지 지냈지만, 지난 대선에서는 민주당 문재인 후보 지지를 선언했던 김현철 전 부소장도 같은 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자신의 부하인 김재규 전 정보부장에게 총을 맞아 사망한 날”이라고 글을 시작했다.
그러면서 “반독재투쟁에 앞장 선 저의 아버지를 국회에서 제명하고 이에 항거한 부마항쟁이 발생하자 김 전 정보부장은 심각성을 느끼고 보고했다”며 “그러나 묵살당하자 더 큰 희생을 우려하여 극단적인 행동에 나서 결국 대통령 시해라는 비극적인 결말로 유신독재는 종식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결국 우리가 원하는 민주화는 이루지 못한 채 신군부가 등장해 광주학살이라는 아주 잔혹한 방법으로 정권을 찬탈했다”며 “결국 수많은 민간인들이 희생되는 비극과 함께 지긋지긋한 군부통치에 무려 30년이나 시달리게 됐다”고 말했다.
김 전 부소장은 “이후 이 땅에 다시는 정치군인들이 반란 내란행위들을 하지 못하도록 문민정부에서 정치군인들의 사조직인 하나회를 뿌리 뽑으며 군의 정치중립을 지켜냈다”며 “그런데 문제는 20년이 지난 현재 다시금 과거의 악몽이 재현되는 듯한 군과 국정원이 지난 대선에 개입하는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일이 발생했다”고 박근혜 정권을 겨냥했다.
김 전 부소장은 덧붙여 “이 문제는 사안이 너무나 중대하기 때문에 악의 뿌리가 더 자라기 전에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이 나서서 강력히 관련된 책임자들을 처벌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담화문을 발표해야 한다”며 “현재 검찰의 자중지란상황을 감안해서 검찰총장 임명자와 함께 상의하여 특검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전 부소장은 “그렇지 않고 이를 적당히 호도하려 한다면 이후 엄청난 후폭풍을 맞을 수 있음을 반드시 명심하기 바란다”고 엄중 경고하며 글을 끝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