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법원에서 일본으로 강제 징용됐던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 명령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본 경제계가 “경제관계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6일 게이단렌(經團連) 등 일본경제 3단체와 일한경제협회는 “일본 기업을 상대로 한 청구권 문제는 한국에 대한 투자나 사업에 장애가 될 수 있으며, 한일 경제관계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 경제계는 ‘우호적인 한일경제관계의 유지·발전을 향해’라는 입장문을 통해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의해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가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것을 기초로 지금까지 양국 경제 관계가 순조롭게 발전했다”고 전했다.
이어 “경제계는 이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고 일한 양국과 양국 경제계가 함께 성장·발전할 수 있도록 양국 정부 및 경제계가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 재계의 입장은 일본 정부가 청구권 협정으로 배상이나 미지급 임금 등 모든 문제가 해결됐다는 견해와 같아, 징용 피해자들은 이에 대해 반발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