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남북정상회담 급물살 타나?
박근혜 정부, 남북정상회담 급물살 타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박 원로 홍사덕 대북특사설…靑 “사실무근”

▲ 친박 원로인 홍사덕 민화협 의장에 대한 대북특사설이 나와 정치권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홍 의장은 물론, 청와대도 '대북특사'는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박근혜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과 언제라도 만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일부 언론을 통해서는 박 대통령 원로 측근 그룹 중 한 명인 홍사덕 민화협 상임의장에 대한 대북특사설까지 제기돼 ‘남북정상회담’이 급물살을 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청와대에서 프랑스 유력 일간 ‘르 피가로’지와 인터뷰를 갖고“남북관계의 발전이나 한반도 평화를 위해 필요하다면 (김정은 위원장과) 언제라도 만날 수 있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발언에 정치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을 진지하게 검토하기 시작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통일부는 지난 4일 김의도 대변인 정례브리핑을 통해 “대통령 말씀은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원론적인 입장을 말씀하신 것이기 때문에 어떤 조건을 언급하기는 적절치 않다”며 언론의 섣부른 예단을 차단하고 나섰다. 대북정책에 있어서 특별히 변화된 것 없다는 해명이었다.

하지만 10일, 또 다시 정부가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을 만한 소식이 전해졌다.

이날 <세계일보>는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토대로 “홍사덕 민화협 의장이 이르면 연내,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에 박근혜정부의 특사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할 것으로 안다”면서 “정부 내에서 구체적으로 추진 일정 등이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홍사덕 의장도 지난 7일 민화협 주최 포럼에서 “남북관계가 갑갑하게 가고 있다. 개성공단 문제를 풀고 난 다음에도 흐름이 뜻대로 흘러가지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놓고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대책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인데, 민화협은 어떻게 하면 (남북관계가) 빨리 제자리를 잡고 속도를 높일 수 있는지에만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 일선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홍 의장은 11일 <CBS>와 통화에서도 “이명박 정부 시절에 남북관계가 완전히 동면상태였는데, 그게 잘하는 게 아니지 않았냐”면서 “지금도 이상하게 패가 꼬여서 그런데, 만나는 게 정상이고 빨리 만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다만, “민화협은 민간기구다. 민간단체의 그걸 가지고…”라며 정권 차원의 특사가 아닌, 민간단체 차원의 방북을 희망하고 있다는 점을 덧붙였다.

청와대 관계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북특사로 보낸다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정권 차원의 대북특사가 아닌 민화협 차원의 방북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그것을 파악할 필요는 없다”며 “방북 관련해서는 해당 부처를 거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 의장이 방북을 하더라도 ‘특사’로 방북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하지만, 홍사덕 의장이 박 대통령의 원로 핵심 측근 인사라는 점에서 그의 방북설을 두고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민간 차원의 만남이더라도 남북정상회담의 물꼬를 트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